현장 떠났던 용산 보건소장…보고서엔 '현장 지휘'

방송 인터뷰 나와서도 거짓말하고 뒤늦게 번복

생활입력 :2022/11/16 09:57

온라인이슈팀

용산보건소 소장이 이태원 참사 당일 최초 현장 인근에 도착했으나 접근이 어렵다는 이유로 구청으로 돌아갔다 40여분 뒤 되돌아왔음에도 구청 내부 보고문서에는 첫 도착 이후 곧바로 현장을 지휘한 것처럼 허위 사실을 기재한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뉴스1이 정보공개를 통해 확보한 용산구청 내부문건인 '핼러윈데이 이태원 사고 관련 출동 및 근무보고서'에는 최재원 용산구보건소장이 참사 당일인 10월29일 오후 11시30분 '개별적으로 도착 및 현장 지휘'를 했다고 적혀있다.

용산구청 보건행정과가 지난 31일 작성한 내부보고 문서, 보고서에는 최재원 보건소장이 이태원 참사 당일인 지난 10월29일 오후 11시30분에 현장에 도착한 후 곧바로 현장을 지휘한 것으로 적혀있다. 하지만 당시 최 소장은 현장에 진입하지 못하고 구청으로 복귀했다가 40분여가 지나서야 직원들과 함께 돌아온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문서는 참사 직후인 지난달 31일 용산구청 보건행정과에서 작성됐으며 최종 결재권자는 최 소장 본인이다.

앞서 최 소장이 당일 이태원에 도착했음에도 참사 현장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구청으로 돌아갔다가 이튿날(10월30일) 오전 0시9분쯤 다시 보건소 직원들과 함께 현장으로 돌아간 사실이 확인됐다.

최 소장은 지난 14일 국민의힘 '이태원 사고조사 및 안전대책 특별위원회'(특위)가 용산구청에 방문한 자리에서 '현장에 접근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해 구청으로 복귀했다'는 취지로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에 대해 김병민 특위 대변인은 "보건소장이 응급의료를 진두지휘해야 하는 시급한 상황에서 '내가 보건소장이다'고 얘기하면서 현장에 들어가지 않고 구청으로 돌아간 심각한 문제에 대해 오늘 특위에서 강한 질타가 있었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가 제작한 '재난응급의료 비상대응메뉴얼'은 재난 상황 발생 시 현장응급의료소장은 관할지역의 보건소장이 맡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현장응급의료소는 환자를 위급도에 따라 분류하고 병원 이송을 지휘하기 때문에 신속한 환자 분류와 이송을 위해서 조기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실제 참사 당일 현장응급의료소가 제때 설치되지 않아 환자 이송 등에 혼란이 있었고 사망자가 특정병원에 몰리는 일이 빚어졌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참사 당시 응급의료소는 최 소장이 직원들과 함께 현장에 도착한 직후 설치됐다.

최 소장이 최초 현장에서 되돌아왔음에도 처음부터 사고 수습을 지휘한 것처럼 보고서를 작성한 것에 대해 응급의료소 지연 설치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것 아니었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특히 최 소장은 지난 2일 'JTBC'와의 인터뷰에서도 당일 오후 11시30분 현장에 도착해 환자를 보고 이송을 직접 지시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관련기사

뉴스1은 사실과 다른 내용의 보고서를 작성하고 결재한 이유를 묻기 위해 최 소장에게 수차례 연락을 취했으나 닿지 않았다. 용산구청 측은 "관련된 경찰수사가 진행되고 있어 최 소장이 개인 입장을 밝히기를 거부했다"고 밝혔다.

제공=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