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 내부 나노 수준으로 엿본다...실리콘 음극재 연구 활용

KAIST, 리튬이차전지 실리콘 음극 전자전도도 퇴화를나노스케일에서 영상화

과학입력 :2022/11/08 13:25    수정: 2022/11/08 14:53

리튬이온전지 속 전자 전달 채널을 왜곡 없이 들여다볼 수 있는 나노수준 영상 기술이 개발됐다. 이를 통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한 전극이 다른 소재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임도 밝혔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 연구팀이 LG에너지솔루션과 협업, 나노스케일 분해능으로 전극 내 전자 전도 채널을 왜곡 신호 없이 정량적으로 추출하는 방법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KAIST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오른쪽)와 박건 박사과정생 (사진=KAIST)

이 기술은 리튬이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한 실리콘 음극재 소재 개발에 활용이 기대된다. 실리콘은 기존 음극재로 쓰이는 흑연에 비해 전지 용량을 높일 수 있지만, 충방전을 할 때 부피 팽창률이 흑연의 4배에 달해 내부 구조를 손상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도전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활물질 내 균등한 전기화학 반응을 일으키려면 전극 내 전자 전도 채널의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연구하기 위해선 나노 수준 공간 분해능을 갖고 전지 내부를 영상화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전극 소재와 같이 표면 거칠기가 큰 시료에서 전도성 원자간력현미경(C-AFM)을 운용할 때 발생하는 왜곡 정보인 용량성 전류(capacitive current)의 원인을 규명하고, 피어슨 상관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이 왜곡 정보를 제거했다. 이 방법론을 실리콘 및 흑연 기반 복합 음극에 적용해 도전재 성분에 따른 전자 전도 채널을 영상화했다.

SiO/graphite 음극 위에서 C-AFM 운용시 스캔 방향에 따른 이미지의 이질성. (a,b,c) 왼쪽에서 오른쪽, (d,e,f) 오른쪽에서 왼쪽. (g,h,i)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왜곡 신호 추출. (j) 왜곡 신호인 용량성 전류의 원인을 설명하는 도식. (자료=KAIST)

이를 통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가 적용된 전극의 전기적, 전기화학적 우수성을 입증하는 데도 성공했다. 실리콘 기반 전극처럼 활물질의 부피 변화가 큰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점형 도전재보다 선형 구조를 가진 적 장점을 갖고 있는 SWCNT가 안정적 전자 전도 채널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SWCNT가 포함된 복합 전극은 충방전을 130회 거친 후에도 활물질의 분쇄가 보다 억제됐다.

관련기사

홍승범 교수는 "왜곡 신호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제거하는 연구는 영상화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라며 "이번에 개발한 방법론이 전극 내 전자 전도 채널 강화에 적용돼, 실리콘 기반 복합 음극의 고도화를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되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LG에너지솔루션-KAIST 프론티어 리서치 랩과 KAIST 글로벌 특이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학술지 '에이씨에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앤드 인터페이시스(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