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일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새싹기업 플라나는 11일 118억원 규모의 프리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AAM은 도심항공모빌리티(UAM)와 지역항공모빌리티(RAM)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는 "AAM은 기존 항공서비스가 닿지 않는 A-B지역을 연결하는 새로운 탈 것이자 UAM·RAM을 모두 포함한다"고 정의했다.
슈미트DSC인베스트먼트 미래모빌리티펀드가 주도한 이번 투자에는 신한자산운용·퓨처플레이·디티앤인베스트먼트·중소기업은행·기술보증기금·제노인베스트먼트아시아 등이 참여했다.
신현재 슈미트 심사역은 "플라나는 국내 유일 AAM 새싹기업이자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중장거리 하이브리드 기반 수직이착륙 기체를 개발하고 있는 업체"라면서 "항공 산업 선도 국가인 미국과 유럽에서도 하이브리드 기반 수직이착륙 기체 성공 가능성을 점치고 있음에 따라 시장 경쟁력 역시 상당히 높다고 본다"고 말했다.
지난해 7월 설립한 플라나는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이브리드 기반 수직이착륙 기체를 개발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기반 수직이착륙 기체는 틸트로터 여섯 개를 장착해 헬기와 같은 이착륙을 구현한다. 파워트레인은 바이오 연료와 전기로 구동되는 터빈발전기·배터리·인터버·모터로 꾸려진다. 화석연료를 쓰지 않기에 탄소배출은 제로에 가깝다. 운항거리와 최고속도는 각각 최대 500km, 시속 350kph.
적재용량은 최대 700kg이며, 승차정원은 6명이다. 자율비행은 지원하지 않는다. 기체 안전성과 사회적 분위기를 고려했을 때, 산업이 궤도에 접어들기 전까지는 조종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플라나의 설명이다.
플라나는 이 기체를 성공적으로 개발하고자 초기부터 에어버스·한국항공우주산업·롤스로이스·콜린스 등 세계적 항공기·항공기부품업체 엔지니어를 다수 영입했고, 현대차·삼성SDI·만도 등에서 전기차 파워트레인 개발을 맡았던 인재도 흡수해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열 관리 시스템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플라나 이번 투자금을 토대로 연내 3m급 시제품을 띄우고, 내년 8m급 서브 스케일 시험비행을 진행할 계획이다.
미국진출도 속도감 있게 추진할 방침이다. 김재형 플라나 대표는 "올해 안에 미국 현지지사를 개소, 파트너사를 늘리고 미국연방항공청(FAA) 인증에도 심혈을 기울일 방침"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플라나 "서울-제주 오가는 AAM 개발…상용화 시점은 2028년"2022.07.27
- "AAM, 세계가 주목하는 미래 모빌리티…정부, 2025년 상용화 목표"2022.09.16
- "미래 이동수단 AAM 모든 것 소개···내년 시험 비행"2022.09.09
- 현대차그룹, AAM 기체 개발 위해 롤스로이스와 맞손2022.07.19
이어 "국토면적이 넓은 미국은 시험할 곳도 많고, 항공시장 역시 커 민수항공산업도 발전했다"며, "무엇보다 FAA 인증을 획득해야 세계시장 진출도 한층 수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투자를 기점으로 AAM 기체 20만대 이상 판매, 1000억달러 이상 매출을 달성하는 세계적인 항공 OEM이 될 것"이라고 포부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