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 전기자동차 세계 점유율을 12%까지 끌어올린다. 또 자동차 업계가 앞으로 5년간 95조원 이상을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2030년까지 자동차용 소프트웨어(SW) 전문기업 300개를 집중 육성한다. 미래차 전문인력도 2030년까지 3만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2030년까지 전동화 글로벌 탑티어 도약을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자동차 산업 세계 3강 전략'을 발표하고 신속·유연한 미래차 전환과 차 산업 경계를 모빌리티 신산업 확장해 세계 3대 차 산업 강국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추진과제는 ▲전동화 글로벌 탑티어 도약 ▲유연한 생태계 전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자율주행·모빌리티 신산업 창출 등 네 가지다.
전동화 글로벌 탑티어 도약 방안은 전동화 핵심 요소인 SW·반도체 분야 역량을 강화와 SW로 정의되는 차(SDV) 전환 가속화다.
구체적으로 2026년까지 자동차용 핵심 SW를 국산화하고, 미래차 인력양성 사업을 확대 개편해 2030년까지 전문인력 3만명을 양성한다.
또 완성차제조사·개발자·정부 간 오픈 이노베이션 사업을 추진하고, 자동차용 SW인증 지원센터를 구축해 2030년까지 자동차용 SW 전문기업 300개를 집중 육성한다.
자동차용 반도체는 ▲핵심기술 선점 ▲공급망 내재화 ▲생태계 조성 ▲기업 지원 등 4대 추진전략을 통해 프로세서·센서 등 16대 핵심 품목을 집중 개발해 세계 시장 점유율을 작년 3.3%에서 2030년 6.6%로 2배 확대한다.
목표 지향형 기술개발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전기·수소차도 양산한다.
전기차는 전기·전자 통합제어 시스템과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 등을 통해 초급속 80% 충전 기준 현재 18분인 충전 속도를 2030년 5분까지 단축하고, 현재 500km 수준인 완전충전 주행거리를 2025년 600km까지 늘린다.
수소차는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해 상용차 기준 현재 30만km 수준인 내구성을 2030년 80만km까지 확대하고, 연비도 현재 kg당 13km 수준에서 2030년 kg당 17km까지 대폭 개선한다.
산업부는 이같은 계획과 더불어 규제 걸림돌 해소와 세제 지원 등을 통해 향후 5년간 차 업계에 95조원 이상을 투입, 2030년 전기차 생산 330만대, 세계 시장 점유율 12%를 달성할 방침이다.
유연한 생태계 전환은 부품기업 사업 다각화 지원과 미래차 전환에도 불구하고 2030년 신차 판매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내연기관차 고도화를 통해 구체화한다.
이중 내연기관차 고도화는 내연기관차 친환경화 기술개발 지원과 미래차 전환 과정에서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차 성능 고도화로 실현한다.
공급망 위기 등 돌발 상황에 대비한 차종 다양성 유지, 다양한 신기술 발전 가능성 등을 고려한 탄소중립 연료 내연기관차 개발도 준비한다.
공급망은 최근 가속화하고 있는 차 분야 자국 중심주의에 대응해 안정성을 제고한다.
현재 차 업계 최대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안(IRA)은 민관합동 총력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한다.
북미 최종조립과 배터리 요건이 우리 기업에 유리할 수 있도록 협상을 지속하는 한편, 현지 생산을 앞당겨 IRA에 맞는 배터리 조기확보 등 대책을 강구한다.
주요국 자국 중심주의는 시장별 맞춤형 전략을 추진해 대응하고, 핵심품목은 국산화한다.
희토영구자석 등 대외 의존도가 높은 품목을 등급별로 관리하고, 현지 공관·무역관 등을 통해 수급현황과 현지동향을 파악해 정보를 실시간 공유한다.
독일에서 100% 수입하는 대형모터 등 전기·수소차 핵심부품 14종 기술 자립화도 지원한다. 전기·수소차 소재 국산화율은 현재 70%에서 2025년 90% 이상으로 제고한다.
자율주행은 2027년 레벨4 완전자율주행 상용화를 목표로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자율주행·커넥티드 기반 모빌리티 신산업도 적극 창출한다.
2027년 레벨4 완전자율주행 상용화는 산업부·과기부·국토부·경찰청 합동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을 통해 선진국 대비 84% 수준인 현재 자율주행 핵심부품 경쟁력을 2027년 100% 수준으로 높여 실현한다.
센서·플랫폼·통신 등 추격형 부품은 기술개발을 지속하고, AI카메라·4D라이다 등 선도형 부품은 선제적 확보에 힘쓴다.
모빌리티 신산업 기반은 데이터 공유·활용 촉진, 선제적 표준 제정, 규제 개선 등을 통해 조성한다.
구체적으로 AI 데이터 기반 모빌리티 빅데이터 포털 구축을 통해 데이터 거래, 신서비스 창출, 제조·서비스 융합을 지원한다. 자율주행 데이터, 핵심부품 등에 대한 국제공인 품질 인증체계와 같은 국가표준도 마련한다.
관련기사
- 산업부, 기술평가기관 신규 지정 추진2022.09.28
- 산업부, 차세대 뿌리명장 선발…고등학생부터 만학도까지2022.09.28
- 산업부 국정감사 D-7…주요 핵심 쟁점은?2022.09.27
- 산업부-SK, 중소기업에 무상 기술이전…306건 기술 공개2022.09.27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급변하는 산업 환경과 미국 IRA 등 여러 악재 속에서 우리 차 산업이 한 단계 더 높은 곳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민관이 머리를 맞대야 할 시점"이라면서, "오늘 발표한 전략은 민관이 나아가야할 차 산업 전략에 대한 큰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어 "앞으로도 업계와 지속 소통하면서 세부 분야별 정책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