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내버스 절반 수소버스로 바뀐다

2025년까지 시내·통근버스 1천여대 전환…수소경제 생태계 조성

카테크입력 :2022/09/19 17:07    수정: 2022/09/20 09:19

부산을 달리는 시내버스와 통근버스 절반인 1000여 대가 2025년까지 수소버스로 바뀐다.

환경부는 19일 부산시청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30 부산 세계 박람회 유치 지원을 위한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환경부를 비롯해 부산광역시, 부산항만공사, 현대자동차, SK E&S, 부산테크노파크,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이 참여했다.

성현도 부산광역시버스은송사업조합 이사장, 김동욱 현대자동차 부사장, 강준석 부산항만공사 사장, 한화진 환경부 장관, 박형준 부산시장, 추형욱 SK E&S 사장, 김형균 부산테크노파크 원장(왼쪽부터)이 19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2030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한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 업무협약식’에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이날 협약은 수송·산업·항만분야 협력을 통해 부산시 수소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고, 탄소중립 박람회 모범사례를 제시해 ‘2030 부산 세계 박람회’ 유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됐다.

협약 체결에 따라 부산광역시는 2025년까지 지역 내 경유·압축천연가스(CNG)를 사용하는 시내와 통근버스 2천100여대 가운데 1천 여대를 수소버스로 전환한다.

환경부는 국산 부품 비중이 높은 수소버스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재정 당국과 협의해 2023년도 정부예산(안)에서 수소버스 국가보조금을 기존 1억5천만원(지방비 1억5천만원)에서 2억1천만원(지방비 9천만원)으로 상향했다.

또 부산광역시 내 버스 차고지뿐만 아니라 항만지역을 중심으로 액화수소 충전소 10곳을 구축해 항만지역을 주로 운행하는 대형트럭(경유)을 수소차로 전환하기 위한 계획도 추진한다.

부산시와 SK E&S는는 수소충전소의 지역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어린이문화복합공간 ‘들락날락’과 연계해 함께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19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2030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한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 업무협약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지역 수소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수소전문기업 육성(10개사), 전문인력 양성 등도 이번 협약을 통해 추진될 예정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우리나라가 수소차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고 이러한 장점을 연계해 2030 부산 세계 박람회 유치 지원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장관은 이어 “지역 수소 생태계를 구축해 탄소중립 목표 달성뿐만 아니라 부산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