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농어촌 읍·면단위에 액화석유가스(LPG) 배관망 가스인프라를 확충하고 LPG 충전소 인프라를 활용한 융·복합 수소충전소로 전환하는 등 종합적인 LPG 이용·보급 시책을 수립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LPG 이용·보급 시책'을 공개했다. 시책은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에 따라 2년 주기로 수립되며, LPG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과 수요 전망 등이 담긴다. LPG는 기존 화석연료보다 친환경적이고 저장이나 수송이 용이한 것으로 평가된다.
정부는 ▲LPG 가스공급 인프라 확충 ▲LPG 유통·가격 안정화 ▲신수요 기반 창출 지원 등 3대 전략과 7개 세부과제를 추진해 서민과 농어촌 주민 삶의 질을 개선한다는 목표다. 이번 시책 수립을 위해 지난달 LPG 업계 간담회 열어 의견을 청취했고, 업계는 협력을 약속했다.
정부는 우선 기존에 추진 중인 'LPG 배관망 구축사업'을 군·마을단위를 넘어 읍·면단위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공급 인프라를 확충해 에너지 사용 불균형 격차를 없애고, 사회적 배려계층의 에너지 복지를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LPG 혼합 연소 발전, 액화천연가스(LNG)-LPG 겸용 발전 등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LNG 수급 위기 발생 시 대체 연료로 LPG를 활용할 수 있어, 에너지 안보가 강화될 것으로 봤다.
LPG 유통과 가격 안정화에도 나선다. 다단계 고비용 유통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LPG 충전·판매업의 유통구조 합리화를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LPG 가격·수급 모니터링을 강화해 가격 안정화도 꾀한다. 소비자 보호를 위한 LPG 품질·정량검사도 지속 추진한다.
이외에 LPG와 관련한 새로운 수요 창출에도 나선다. LPG 충전소 인프라를 통한 융·복합 수소충전소 전환, 연료전지 등 분산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슈퍼스테이션(친환경 복합 주유소) 거점 확산을 추진한다. 친환경 LPG 선박 벙커링(연료유 공급) 사업 기반 마련 등도 지원한다.
한편 이번 발표에 따르면 국내 LPG 수요는 2020년 약 1천19만톤에서 2026년 1천111만톤으로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 집중호우에는 가스밸브 잠그고 LPG 용기는 고정해야2022.08.12
- LG전자, LPGA 에비앙챔피언십 대회서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홍보2022.07.21
- 유일무이한 존재…LPG SUV 'QM6 LPe' 타보니2022.05.24
- SBI저축은행, 김아림 KLPGA 챔피언십 우승 기념 정기예금 특판2022.05.16
2020년을 기준 용도별 비중은 석유화학 등 산업용이 59.0%, 수송용은 26.1%, 가정·상업용은 14.9%로 집계됐다. 제품별로는 프로판 64.0%, 부탄 36.0%로 조사됐다. 2026년에는 전기·수소차 증가와 LPG차량 감소에 따라 수송용 수요는 21.4%로 줄고, 가격 경쟁력 확대로 산업용 수요는 63.5%까지 늘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업계·유관기관 등과 소통하며 탄소중립 이행 과정에서 LPG가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