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무선 네트워크 통합 허브 장비 상용화

5G·4G 프론트홀과 유선 인터넷 일괄 연결

방송/통신입력 :2022/08/18 08:53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이동통신망 프론트홀에 적용되는 유무선 통합 허브 장비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해 네트워크 관리 역량을 강화했다고 18일 밝혔다.

SK텔레콤이 상용화한 유무선 통합 허브 장비는 프론트홀 라우터 일종으로 하나의 장비로 5G, 4G, 유선 인터넷 등 여러 종류의 서비스에 이용되는 광 회선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관련 기술 검증을 진행했고 올해 SK브로드밴드와 함께 5G LTE 프론트홀과 이더넷 기반 유선 인터넷 서비스에 유무선 통합 허브를 적용하는 테스트를 통해 상용화를 완료했다.

SK텔레콤은 향후 무선 서비스와 B2B, B2C 대상 인터넷 서비스를 종합 제공해야 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유무선 통합 허브를 확대 운용해 AI 서비스 컴퍼니로의 진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유무선 통합 허브를 활용해 프론트홀의 인터페이스 규격도 고도화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에서 기지국 장비 규격으로 사용되는 CPRI와 eCPRI를 동시에 수용 가능하며, 향후 6G 규격도 수용 가능하도록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더넷 기반 인터넷을 활용하는 eCPRI 규격은 5G 서비스의 고도화에 유리한 방식으로, 세계적으로도 일반 규격으로 채택되는 추세다.

성진수 SK텔레콤 인프라엔지니어링담당은 “향후 유무선 복합 서비스를 유연하게 수용하고 네트워크 인프라 관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5G 고도화와 6G로의 진화를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