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물자원관은 고부가가치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생산하는 미생물 2종을 최근 분리 배양하는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바이오플라스틱은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만들어진 플라스틱을 뜻하며 자연상태에서 석유로 만들어진 플라스틱보다 쉽게 분해된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개미산이라고 불리는 포름산염(폼산염)은 수소, 탄소, 산소로 이뤄진 산성 액체다. 최근에는 이산화탄소(CO2)와 수소(H2) 기체를 합성해 포름산염으로 전환하는 온실가스 저감 기술(탄소 포집과 활용·저장)이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일부 미생물이 '탄소 포집과 활용·저장 기술 (CCUS)'로 발생한 포름산염을 섭취해 바이오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올해 초부터 고려대학교와 원광대학교 연구진과 연구를 추진했다.
이들 균이 생산하는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는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PHB)로 석유로 만든 일반 플라스틱과 성질이 비슷하지만 자연상태에서 쉽게 분해되는 장점을 갖추고 있으며 화장품 용기나 재활용 플라스틱, 수술용 봉합사 등의 제작에 쓰이고 있다.
관련기사
-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다양성 통계자료 공식 배포2022.07.07
- 어린이날, ‘국립생물자원관’에서 함께 즐겨요2022.05.04
- 국립생물자원관, 메탄 분해하는 '메탄자화균' 국내서 발견2021.04.06
- 국립생물자원관, 김치 유산균 바이러스 소독 효과 확인2020.09.28
연구진은 고부가가치 화합물인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생산하는 이들 미생물의 유전체를 분석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최적의 포름산염 활용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병희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장은 "온실가스 저감을 통한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포름산염 활용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생산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