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마트 커넥티드 디바이스 시장 작년 5.6% 성장

한국IDC, 출하량 2765만대…올해는 성장률 3%로 둔화 예상

홈&모바일입력 :2022/07/18 11:14

PC, 태블릿, 스마트폰을 포함한 국내 스마트 커넥티드 디바이스 시장이 지난 해 5.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시장조사기관 한국IDC에 따르면, 지난해 스마트 커넥티드 디바이스 출하량은 2천765만대로 집계됐다. 이 같은 출하량은 전년 2천619만대에 비해 5.6% 증가한 것이다. 

올해 출하량은 작년보다 3.0% 늘어난 2천849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IDC는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 증가로 올해 시장 성장률이 다소 둔화되지만, 비대면 수업과 5G 네트워크 확대로 스마트 커넥티드 디바이스 수요가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2021-2022 국내 스마트 커넥티드 디바이스 출하량 (자료=한국IDC)

지난해 PC 출하량은 606만대로, 전년 526만대 보다 15.3% 성장했다. 태블릿 출하량은 469만대로 전년 385만대 보다 21.7% 증가했다.

스마트폰 출하량은 1천 689만대로, 1천 707만대 보다 1.0% 감소했다. 6.1% 성장한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과 반대된다.

특히 국내 스마트폰 시장은 5G 스마트폰 비중이 출하량의 75.8%를 차지해 전세계 평균 41.0% 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화면 크기 6인치 이상 제품 비중은 93.5%를 차지했다. 

이 같은 대형 화면폰 선호 추세는 5G 환경에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와 멀티태스킹에 관한 수요가 증가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해 국내 PC, 태블릿, 스마트폰 시장은 전년 대비 각각 2.2%, 4.1%,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PC 시장은 윈도11 출시, 크롬북·웨일 등 다양해진 운영 환경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태블릿은 콘텐츠 소비 도구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업무를 할 수 있는 모바일 컴퓨팅 기기로의 역할이 강조되는 추세다. 스마트폰은 5G 전환 가속화, 폴더블폰 대중화, 대형 화면 기기 확대 및 멀티 태스킹 등 진보한 사용자 경험이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권상준 한국IDC 이사는 "서비스와 솔루션을 결합해 스마트 커넥티드 디바이스의 표준화된 생태계를 구축하고, 콘텐츠 소비, 디지털 교육, 기업 자원과 자산의 활용 등 사용자에게 디지털 동등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