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정부, 사이버보안 인재 10만명 키운다

2026년까지…신규 인력 4만-재직자 6만 명 육성방안 발표

컴퓨팅입력 :2022/07/13 15:54    수정: 2022/07/13 17:55

윤석열 정부가 공약한 '사이버보안 10만 인재 양성' 정책의 구체적인 추진방안이 공개됐다. 

융합보안대학원과 정보보호특성화대학을 확대 지정하고, 사이버부사관 특화 정보보호 전문 대학을 신설해 정규 교육 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인력 규모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더해 최고급 수준의 보안제품 개발자를 육성하는 'S-개발자' 프로그램 등 다양한 신규 특화교육 사업을 추진하고, 사이버보안 인력 저변 확대를 위한 상시 교육 체계도 확대한다.  

이를 통해 2026년까지 신규 인력 4만 명, 재직자 6만 명 등 총 10만 명의 사이버보안 인재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13일 서울 판교 기업지원허브에서 열린 '제11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사이버보안 10만 인재 양성 방안'을 발표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 직접 참석해 국가적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표명하며 "10만 인재를 양성하고 사이버 안보기술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후보 시절 '디지털경제 패권국가' 도약을 위한 실천과제로 사이버보안 10만 인재 양성을 공약한 바 있다.

정부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사이버보안 인재 10만 명을 양성한다.

■정규과정부터 특화교육까지...중고급 인력 추가 양성

정부는 산업성장을 감안해 2026년까지 약 16만3천 명의 사이버보안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12만4천 명에서 약 4만 명의 신규 인력 수요가 새롭게 발생할 것으로 예측한 것이다.

수요는 늘고 있지만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사이버보안 인력은 오히려 줄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들이 정보보호학과를 IT 융합 전공 등으로 통폐합하면서, 사이버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은 2019년 69개에서 2020년 53개로 줄었다.

이에 정부는 융합보안대학원과 정보보호특성화대학을 확대·개편해 중·고급 실력을 갖춘 전문 인력이 정규 교육 과정을 통해 추가로 배출될 수 있게 했다. 2026년까지 정보보호특성화대와 융합보안대학원은 각각 10개(현재 3개), 12개(현재 8개)로 늘릴 계획이다. 

또 인력양성의 질 제고를 위해 내년부터 대학원 지원대상을 석사에서 석·박사로 확대한다. 대학이 주도하고 기업·연구소가 참여하는 연구개발(R&D)도 2024년부터 추진한다.

산업 현장과 연계한 사이버보안 인력 육성 방안으로 '시큐리티 아카데미'사업이 새롭게 추진된다.  시큐리티 아카데미는 기업이 '인재 선발→실무교육→취업' 전 과정을 주도하고, 정부가 사업을 지원하는 구조로 진행된다.

최정예 인력 육성을 위해 IT개발 인력을 선발하여 보안교육·창업을 지원하는 'S-개발자' 과정도 신설한다. 이를 통해 2023년부터 매년 50명씩 최정예 인력을 추가로 배출할 계획이다. 

중급 화이트해커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고 잠재력 있는 보안 인재에 재능 사다리 제공을 위해 '화이트햇 스쿨' 과정을 신설하고, 2023년부터 매년 300을 양성한다.

■저변 확대를 위해 상시 육성 체계와 글로벌 연계 기반 마련

사이버보안 인력 저변 확대를 위해 상시 교육 체계도 확대·고도화 한다.

먼저 현재 1곳(판교)만 운영되고 있는 '실전형 사이버훈련장'을 지역 기반으로 확대한다. 이를 통해 누구나 쉽게 보안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또, 사이버훈련장에서 교육 받은 인력들이 실제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현장 기반의 훈련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팀 단위 훈련이 가능한 멀티훈련 플랫폼 개발한다.

지역의 보안인재 육성을 위해 지역 정보보호 교육센터를 중심으로 거점대학과 함께 교육을 지원한다. 지자체, 산·학 중심의 '지역 정보보호 협의회'를 구성해 지역 인재 양성과 지역 사이버산업 육성의 선순환 구조 마련한다.

글로벌 사이버인재 육성을 위해 개도국의 인재육성과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K-사이버 글로벌 인력 네트워크(가칭)'도 추진한다. 또  미국 사이버보안 관련기관과 국내 침해대응기관 간 인력 교류 등 사이버 인력의 해외 진출도 지원한다.

■민·관·군 유기적 협력으로 사이버전·범죄 대응

사이버전이 확산됨에 따라 사이버범죄 등에 대응해 국방·치안·공공 분야 사이버 인력 육성도 강화한다.

먼저 전문 인력 확보 방안으로 사이버작전·수사 분야 전문대·대학·대학원 과정을 신설한다. 또 군경력 우수 인재가 민간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전군 대상 사이버 전문 특기 통합 지정·운영을 검토한다. 

사이버안보 전문 인력을 육성을 위한 민·군 협력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우수 인력을 선발해 사이버안보 분야에 근무하게 한 뒤 취업·창업을 지원하는 ‘사이버 탈피오트’ 사업도 추진한다. 또 사이버 예비군을 창설해 민간 인력(연구기관·보안기업 등)을 사이버전 예비인력으로 조직화한다.

관련기사

또 국가 공공기관 정보보안담당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지역대학과 연계한 지방거점 사이버안보 교육체계 구축하고, 금융·국방·전력 등 유관기관 합동팀이 NATO '락드 쉴즈' 등 국제 훈련에 적극 참가한다는 계획이다.

사이버보안 인재 육성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김정삼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에 됨에 따라 주요기업의 해킹, 러시아-우크라이나 사이버전(戰) 확대 등 사이버 위협이 국민 일상, 기업 경제활동, 국가안보를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다"며 "사이버 역량은 보안인력의 역량에 따라 좌우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