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인공지능·알고리즘에 부정적…성장단계별 지원책 마련돼야"

'인공지능 생태계 활성화 전문가 토론회'서 비효율적 규제 비판

인터넷입력 :2022/06/21 17:52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시장이 지금보다 성장하려면, 정부 지원과 우수 인력이 활동하기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머리를 맞댔다. 기업 규모에 걸맞게, 단계별 구체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21일 스타트업얼라이언스가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 조명희 의원, 홍정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공동 주최한 ‘인공지능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토론회’에선 국내 AI 시장 파이를 키우기 위한 과제와 해결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먼저, 국내에선 AI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단 의견이 제기됐다. 발제를 맡은 김장현 성균관대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교수는 “AI의 일자리 대체, 알고리즘 윤리 규제와 공정성 등 주제가 한국 언론에서 빈번히 나타난 데 반해, 국외에선 이런 주제들이 선명하게 나타나진 않는다”고 말했다.

정윤혁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사진=스타트업얼라이언스)

해외 국가와 비교했을 때, 한국에선 AI와 알고리즘 시대에 대해 우려하는 경향이 짙다는 관측이다. AI가 인간의 직업, 사회 활동 등 일정 역할을 빼앗을 것이란 회의적인 인식이 팽배하단 얘기다. 김 교수는 “AI 기술 발전을 막는 비효율적인 규제는 삼가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국내 AI 스타트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국 AI 스타트업 숫자는 300곳가량으로, 의료와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쏠린 것으로 조사됐다. 또 기업 간거래(B2B) 유형이 70% 이상 비중을 나타내며, 이 중 60.5%가 초기 투자 단계에 머문 실정이다. AI 스타트업 10곳 중 6곳이 제품, 서비스를 출시하지 못한 상황이란 것. 

정윤혁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AI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선 데이터 확보와 공유, 그리고 최소한의 규제가 필요하다”면서 “충분한 사회적 합의를 통해, 정부 지원책을 수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전문가는 정부 역할이 AI 산업 자생력을 키우는 데 있어 외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며, ‘핀셋 지원’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김정환 부경대 ICT융합전공 교수는 “AI 시장이 성장하기 위해 아직 갈 길이 멀다”면서 “사업자 규모에 맞춰, 세부적인 지원책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스타트업얼라이언스)

AI 데이터 스타트업 테스트웍스의 윤석원 대표 역시 “많은 AI 스타트업이 제품, 서비스 시험 단계에 머물러 있고, 여기서 많은 실패비용이 발생해 적자를 면치 못하는 상황”이라며 “상용화 실험의 장을 만들고, 성장 과정별 세밀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윤 대표는 이어 “정부, 대기업, 공공기업과 협업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주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최재식 카이스트 AI 대학원 교수는 AI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려면 ▲글로벌 서비스와 ▲인재 유치 환경을 마련하고, ▲투명성과 설명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최 교수는 “작은 분야라도 해외 시장에 뻗어나가도록 경쟁력, 참신성을 가져야 한다”며 “규제보단, 대화와 합의를 통해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구는 줄고, AI 수요는 늘고 있다”며 “국내외 인재들이 일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이 요구된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