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 대학 연구팀 조사 결과 10명 중 1명은 전신 마취 중 의식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의식을 유지하고 있던 사람 중 절반은 통증을 느꼈으며, 마취가 풀린 후에는 아픔을 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드니 대학 뉴스와 IT 매체 기가진 등에 따르면 전신 마취는 수술 중 아픔을 제거하는 효과와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전신 마취의 메커니즘은 현대에도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아, 전신 마취 중 의식 여부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전신 마취를 받은 환자 중에는 “의식이 회복되고 통증도 느꼈지만 몸을 움직일 수는 없었다”라는 경험을 밝힌 사람도 있다. 또 위스콘신 대학에서 실시된 실험에서는 전신 마취된 환자의 4.6%가 마취 중 지시에 응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전신 마취 중 의식에 대해 연구한 시드니 대학 연구팀은 18~40세 338명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마취 중에 지시를 이해할 수 있으면 1회, 통증이 있으면 2회 손을 잡도록 요구하는 실험을 했다. 실험 결과 환자의 11%가 지시에 응답하고 손을 잡았다. 또 11% 환자의 절반은 여러 번 손을 잡고 통증을 느꼈다고 보고했다.
관련기사
- "고양이과 기생충 감염된 사람이 이성에게 더 끌린다"2022.05.22
- 사람들은 왜 아플 때도 일 멈추지 못할까2022.05.09
- "짠맛 포기 못해"...음식 간 1.5배 높이는 젓가락 개발2022.04.22
- 사람 뇌, 눈으로 본 정보 저해상도로 압축 저장2022.04.14
손을 잡은 대부분의 환자는 마취에서 깨어났을 때 연구진의 지시와 자신이 답변한 것을 잊었지만, 한 환자는 수술 중의 체험을 선명히 기억했다고 연구팀은 보고했다. 또 여성 환자는 남성보다 지시에 응답할 가능성이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팀의 일원인 로버트 샌더스 교수는 “마취의 전반적인 안전성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들은 수술 후 이런 경험에 대한 기억이 없었다”며 “이번 연구는 마취 분야에서 환자 안전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과 환자 치료의 추가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또 “마취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차이점, 특히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를 조속히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