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2024년 탈플라스틱 선제대응…이해 관계자 토론회 개최

유엔환경총회 국제협약 결의안 도출에 따라 토론회 개최

디지털경제입력 :2022/05/19 17:46

환경부가 국제사회의 탈플라스틱 협약을 선제적으로 논의·대비하기 위한 이해관계자 토론회를 19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올해 3월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5차 유엔환경총회에서 2024년까지 플라스틱 오염을 끝내기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 결의안이 채택됨에 따라 마련됐다.

해당 국제협약 결의안은 그동안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위주로 논의되어 왔던 플라스틱 문제가 '해양'에 한정되지 않고 전주기적 관리로 확대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

유엔 주도로 협약 협상과 그에 따른 국제사회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번 토론회는 환경부 산하기관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및 학계 전문가가 최근 탈플라스틱에 대한 국제사회의 현황에 대해 논의했다.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전경

토론회에서 이용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제환경협력센터장은 지난 20년간 세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이 2000년 1억5천600만톤에서 2019년 3억5천300만톤으로 2배 이상 증가하고, 올해 3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환경장관회의에서도 플라스틱 문제가 주요 의제로 채택되는 등 최근 국제사회의 동향을 설명했다.

또 유럽연합 및 독일, 프랑스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플라스틱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순환경제 구축을 위한 정책과 지침을 소개했다.

이 센터장은 이같은 흐름에 따라 국제사회는 폐기물 발생을 원천적으로 예방하는 기술과 대응책 마련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며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관련 처리산업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계형산 목원대학교 교수는 일회용품, 재생원료 체계 구축 등과 관련된 국내외 기술 동향 등을 소개하며 탈플라스틱 국제협약이 플라스틱 재사용·재활용에 대한 국내외적 공감대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법정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플라스틱은 생산 및 폐기 과정에서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국제사회의 기후위기 및 환경오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는 기업의 선제적 노력과 국민의 실천으로 탈플라스틱 방면에 많은 진전이 있었던 만큼 국제적 흐름을 읽고 이러한 움직임을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