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가 시속 1천 200㎞로 달리는 하이퍼루프 안에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 기술이 개발됐다.
UNIST(총장 이영훈)는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고속으로 달리는 객차의 안전을 모니터링하고,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설계의 기반 기술이 될 것이란 기대다.
일런 머스크 테슬라 CEO가 제안한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 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튜브와 포드의 상태에 대한 센서 정보, 포드 운항 제어 정보, 긴급 상황 정보 등을 주고받는 하이퍼루프 통신은 초고속으로 운항하는 객차의 안전을 위한 필수 요소 기술이다.
이같은 하이퍼루프 무선통신 시스템 설계를 위해 안테나 디자인, 반송 주파수, 대역폭 등을 정하려면 전파가 3차원 공간에서 어떻게 퍼져나가는지 예측하는 통신 채널 분석이 필수다.
하지만 기존 전자기파 시뮬레이터로는 하이퍼루프 분석에 한계가 있다. 튜브가 전파를 가두는 도파관을 닮은 데다 길이도 수백㎞에 달해 전파가 일반 공간보다 멀리까지 퍼져나가기 때문이다. 기지국 등 시뮬레이션에 포함해야 할 대상도 범위가 훨씬 넓어진다. 튜브 안을 고속으로 달리는 포드들에 의한 영향도 변수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 가지 대표 구간을 각각 시뮬레이션하고, 이들을 수학적으로 연결하는 모델링을 통해 튜브 전체를 해석하는 새로운 기법을 썼다. 단일 기지국 구간, 단일 포드 구간, 기지국이나 포드가 없는 빈 튜브 구간으로 구분해 전자기파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뒤 이를 '네트워크 파라미터 모델링' 기법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분석 결과, 각 포드에서 신호 투과·반사 등 다양한 신호 왜곡 현상이 일어나고 있었다. 다른 기지국이 전송한 간섭신호 중 일부가 여러 포드 구간을 뚫고 전달돼 발생하는 다중 간섭신호 수신이 대표적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반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에 가장 적합한 주파수 대역, 최대 가능 대역폭, 최적의 전자기 모드 등을 밝혀냈다. 또 포드의 주행 위치별로 통신 신호의 수신강도 등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었다.
관련기사
- 일론 머스크, 올해 실제 크기 하이퍼루프 터널 뚫는다2022.04.26
- 삼성전자, '6G 주파수 백서' 첫 공개...상용화 논의 선도2022.05.08
- 통신 3사 28GHz 5G 망구축 이행률 10% 갓 넘어2022.05.03
- 車 업계 화두는 OS…현대차그룹, ccOS로 대응2022.04.18
김효일 교수는 "분석기법이 유연해 하이퍼루프의 규격 등이 바뀌더라도 쉽게 응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라며 "하이퍼루프 환경에 최적화된 안테나 설계, 통신 기법 개발, 통신 성능을 고려한 포드 디자인 등 연관 분야에서 원천 기술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UNIST 자체 연구지원과제 및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연구 결과는 학술지 'IEEE 차량 기술 매거진(IEEE Vehicular Technology Magazine)'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