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으로 폐기물 소각분야 오염 인자 찾아낸다

국립환경과학원‧성남시, 인공지능 활용한 오염관리 협약 체결

디지털경제입력 :2022/05/11 15:05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과 성남시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폐기물 오염 인자 도출 연구 개발 업무협약을 11일 성남시청(성남시 중원구 소재)에서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국립환경과학원이 폐기물 처리 분야 통합관리사업장을 운영하는 지자체와 협업해 최적가용기법을 찾아내고 통합관리사업장의 오염 원인 인자를 밝히는 공동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마련됐다.

양 기관은 하루 최대 폐기물 처리용량이 600톤인 성남소각장 운영자료(빅데이터)를 활용해 오염물질 배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인공지능 기반의 오염 원인 인자 도출 방법을 알아내는 공동연구 시범사업을 이달부터 수행한다.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전경

공동연구 분야는 ▲시설별 운영인자와 오염물질의 상관성 조사,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한 주요 오염물질 배출 원인 인자 도출, ▲사업장 환경관리와 운영 효율화를 위한 정보 공유, ▲통합환경관리제도 개선과 적용방안 등이다.

관련기사

공동연구의 결과는 첨단 유망기술과 최적가용기법의 발굴, 폐기물처리업 최적가용기법 기준서 개정, 통합환경관리제도 개선 등 폐기물 처리 분야의 환경관리에 활용될 예정이다.

성남시는 시범사업 상호 협력을 통해 사업장 운영 효율화, 에너지 절감, 사업장 운영자료 분석기법 도출, 오염 원인 인자 진단기법 등을 마련하여 폐기물처리시설을 환경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