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 저혈당·치매 동반 시 사망률 5.1배 높아져

고혈당 조절 못지않게 저혈당 상태 관리해야

헬스케어입력 :2022/04/11 13:59

당뇨병 환자가 중증 저혈당을 앓으면 치매는 물론 사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이용호 교수와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내분비내과 한유진 교수 연구팀은 2형 당뇨병 환자가 중증 저혈당으로 한 번이라도 치료받으면 치매와 사망 위험도가 각각 50%, 29% 올라간다고 밝혔다. 중증 저혈당과 치매를 모두 앓으면 사망 위험도는 5.1배까지 증가한다.

저혈당은 혈중 포도당 농도가 낮아진 상태를 말한다. 대한당뇨병학회는 중증 저혈당 상태에 빠지면 환자가 대처하기 힘든 쇼크 상태에 놓이게 돼 심하면 의식 소실과 사망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에서 2009년 치매가 없는 40세 이상의 2형 당뇨병 환자 2백만 여 명을 대상으로 2006년~2009년 중증 저혈당 치료 횟수를 확인했다. 중증 저혈당으로 최소 1회 이상 치료받은 환자는 1만 4443명(0.7%)이었다. 이와 함께 2015년 12월까지 약 7년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환자들이 치매를 앓는 경우를 조사했다.

당뇨병 환자가 중증 저혈당을 앓으면 치매는 물론 사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픽셀)

그 결과, 중증 저혈당 치료 횟수가 많을수록 치매 위험이 증가했다. 치매 발생 위험은 중증 저혈당이 없는 환자와 비교했을 때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 1.8배 높았다.

치매 유형별로는 알츠하이머 위험도는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 1.9배, 혈관성 치매 위험도는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 1.4배 각각 상승했다. 연령대별로는 60세 미만군에서 3.1배, 60세 이상군에서 1.6배 증가했다.

2009년~2015년 치매가 있는 당뇨병 환자 중 사망자는 총 5만1천567명이었다. 사망 위험도는 중증 저혈당이 없는 환자 대비 1회 치료군에서 29%, 2회 치료군에서 35% 증가했다.

이용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당뇨병 환자가 고혈당 조절 못지않게 저혈당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며 “저혈당 고위험군에서 개별 환자에 맞춘 혈당 조절 목표 설정으로 당뇨병 합병증 예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연구 결과는 미국 내분비학회 공식 학술지 임상내분비대사 저널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