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억 년 전 백악기에 살았던 스피노사우르는 몸 길이가 15m 이상으로, 육식 공룡 중 가장 덩치가 큰 놈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물고기를 잡아먹고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나 자유롭게 헤엄을 쳤는지, 왜가리처럼 물 속에서 걷기만 했는지에 대해서는 학계에 논란이 있다.
미국 필드자연사박물관 연구진이 스피노사우르스의 뼈 밀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스피노사우르스가 물 속에서 활동하며 사냥을 했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뼈의 밀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수중 생활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 결과는 23일(현지시간) 학술지 '네이처'에 게재됐다.
스피노사우르스는 화석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행태나 생활 방식을 두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처음에는 턱과 고깔 모양의 치아가 악어와 비슷한 것으로 보아 악어처럼 물 속을 헤집고 다니는 수생 포식자였을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2014년 새 화석이 나오면서 짧은 뒷다리와 물갈퀴 모양 다리, 지느러미 모양 꼬리 등 헤엄치며 수중 생활을 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들이 새로 등장했다.
필드자연사박물관에서 박사후과정을 밟으며 이 논문의 제1저자로 참여한 마테오 파브리는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화석이 없는 상황에서)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해석은 여러가지로 나올 수 있다"라며 "지구의 어떤 생체 기관에나 적용 가능한 보편적 법칙을 활용해 보자는 생각에 뼈 밀도를 분석했다"라고 말했다.
뼈 밀도는 동물이 물 속에 가라앉아 수영을 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알려져 있다. 수생 환경에 적응한 포유류 동물은 꼬리나 엉덩이 부분 골격에 보다 밀도가 높고 촘촘한 뼈를 갖고 있다.
연구진은 땅과 물에 사는 현생 및 멸종 동물 250종의 대퇴골과 갈비뼈 단면도 데이터를 수집, 스피노사우르스 뼈의 단면과 비교했다. 그 결과 물 속에 들어가 먹이를 찾는 동물은 거의 대부분 촘촘하고 단단한 뼈를 가진 반면, 육상 동물의 뼈는 가운데가 빈 도넛 모양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또 스피노사우르스의 뼈는 밀도 측면에서 완전한 수중 생활을 하는 동물들의 뼈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피노사우르스와 친척 공룡인 바리오닉스 역시 뼈 특성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수중 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또다른 친적뻘 공룡인 수코미무스는 뼈가 비어 있어 수영을 하지는 못 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관련기사
- 사냥꾼이 오히려 사슴 숫자 더 늘리고 있다2022.02.18
- 극한 환경 속 물고기 생존 비결, 혈액에 숨어 있었다2022.03.14
- 1㎜ 안 되는 딱정벌레가 빠르게 나는 비결은2022.01.25
- 비트코인 9만9천 달러 돌파...SEC 위원장 사임 소식에 급등2024.11.22
파브리는 "이번 연구가 화석을 바탕으로 해부학적 구조 파악에 집중하는 기존 접근에서 벗어나 공룡이 살던 생태에 초점을 맞추는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