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스트레스 분석해 맞춤형 해법 제공

ETRI, 국제공동연구로 '웰마인드' 플랫폼 개발 추진...VR콘텐츠 제작은 마쳐

과학입력 :2022/02/09 09:31    수정: 2022/02/09 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김명준)은 근로자의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트레스를 측정 및 분석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인공지능(AI) 플랫폼을 국제공동 연구로 개발 중이라고 9일 밝혔다.

ETRI가 개발하고 있는 플랫폼 '웰마인드(WellMind)'는 앱(App) 형태로 스트레스 관리의 전(全)주기를 책임진다. 기존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스트레스 관리는 맥파, 심전도, 뇌파, 피부전도도, 피부온도 등 다양한 생체신호를 수집하지만, 개인이 느끼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이 다양해 상당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고 ETRI는 설명했다. 이에 '웰마인드'는 웨어러블 기기뿐 아니라 센서와 연동해 온도, 습도, 소음, 미세먼지, 조명 등 근무환경 분석 과 근무시간, 업무 스케쥴 등 작업정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더욱 정밀하게 직장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다고 ETRI는 밝혔다.

'웰마인드'의 AI 분석 모델은 수집한 모든 데이터를 학습데이터와 비교, 분석해 근로자의 스트레스 상태를 판단한다. 연구책임자인 ETRI 김현숙 책임연구원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하는 기술이 핵심이라며 현재 분석 모델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데이터를 축적하는 단계라고 덧붙였다. 실시간으로 직무 일정을 모니터링해 업무 스케쥴을 고려한 개인 맞춤형 스트레스 해소법을 제공하는 것도 특징이다.

ETRI 연구진이 스트레스 측정, 해소 플랫폼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앱을 통해 수집한 설문 정보도 함께 활용해 정확도를 높였다.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와 선호도에 따라 차 마시기, 음악 듣기, 스트레칭하기, 명상 등 가장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앱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 전, 후 상태변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연구진은 현재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VR 콘텐츠 제작을 완료했고, 연구원 내 리빙랩을 구축해 스트레스 측정 및 솔루션 효과성을 검증하고 있다. 향후 연구진은 AI 분석 모델 완성도를 높여 직장인을 대상으로 최적화 후 활용처를 넓혀나갈 방침이다. 국내외 디지털 헬스업체 등에 기술 이전해 개인 헬스케어 서비스 확산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ETRI 윤대섭 인지 및 교통ICT연구실장은 "한국과 EU 국가들과 함께 개발 중인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이라면서 "이번 결과물은 국내 및 유럽 산업계를 통해 사업화돼 지식 근로자들의 스트레스 예방, 진단 및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문화권별로 다양한 스트레스 정보 수집 및 분석, 스트레스 해소 솔루션 선호도에 대한 문화적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 유럽 컨소시엄과 함께 국가별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도 분석 중이다.

이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및 ETRI 내부사업 지원으로 수행 중이다. 연구와 관련해 우리나라와 핀란드, 오스트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등 5개국 17개 기관이 유럽 ITEA3 Mad@Work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