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무인이동체 산업의 총 매출이 6천784억원으로 집계됐다. 3년간 연평균 39%씩 성장한 결과다. 관련 분야 종사인력도 3천131명으로 2025년에는 5천63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조사 대상 기업 매출의 81%가 드론 분야에 집중돼 있고 공공부문 매출 의존도가 높아 향후 민간시장 확대를 위한 사업모델 개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사업단(단장 강왕구)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무인이동체 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무인이동체는 외부 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체로, 드론‧무인기(공중), 무인지상차량(육상), 무인선박‧잠수정(해양) 등을 통합하는 개념이다.
무인이동체 산업 실태조사는 국내 공중·육상·해양 분야의 무인이동체 사업 종사 기업체를 대상으로 무인이동체 산업 전반의 현황을 파악해 정부의 연구개발 정책과 산업육성 전략 수립에 필요한 통계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 국내 308개 기업 대상 조사...6번째 조사결과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16년부터 무인이동체 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매년 발표하고 있으며 올해는 6년째 조사결과다.
2020년 무인이동체 산업실태조사는 지난해 1월부터 연말까지 국내 육상-해상-공중 분야 무인이동체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308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무인이동체 총 매출은 최근 3년간 연평균 39.2% 성장했으며 공중 분야가 총 매출의 81% 차지했고, 공공부문 매출 의존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따르면, 국내 무인이동체 기업 308개사의 지난해 총 매출액은 6천784억원으로 최근 3년간 연평균 39.2%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공중 분야가 5천484억원으로 전체의 80.8%를 차지했고, 육상 811억원, 해양 407억원, 임무장비 82억원 순이었다. 임무장비는 무인이동체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탑재하는 장비로 카메라 등이 해당된다.
전체 매출액 중 66.5%가 정부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발생해 공공부문 의존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민간기업 20%, 기타 13.4%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기업의 무인이동체 종사인력은 지난해 기준 3천131명이며, 2025년에는 5천63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 무인이동체 신규 채용 ‘기체설계‧조립’ 가장 많아
지난해 국내 무인이동체 인력은 주로 공중 분야 76.0%(2,384명), R&D 직무 68.1%(2,132명)에 종사하고 있다.
학력별로는 학사 이상이 전체 92.6%(2천901명), 석‧박사 비중은 28.1%(882명)이었으며, 전공은 전기·전자/IT가 전체 42.4%(1,327명)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항공우주 전공 순이었다.
신규 채용 시 가장 필요로 하는 직무수행능력은 기체설계와 조립(66.9%), 시험평가(54.5%), 탑재SW(50%) 순으로 조사(중복 채택)됐다.
지난해 무인이동체 분야 기업 관련 총 1천328억원의 투자가 이뤄졌으며, 2023년까지 5천21억원의 투자가 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투자는 기업 자체 75.9%(1천억원), 정부지원 24.1%(320억원)로 조사됐고, 총 투자의 76.4%(1천15억원)가 R&D 분야에 집중됐다.
향후 3년간 무인이동체 관련 5천21억원 투자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되며, 부문별 투자 우선 순위는 R&D 76.1%(3천819억원), 시설·장비 20.4%(1천23억원), 교육·훈련 3.2%(160억원)순으로 전망된다.
국내 기업의 무인이동체 사업 업력은 대부분 5년 이하로 자체 연구소를 보유하고, 수도권에 집중됐다. 무인이동체 사업 업력 5년 이하의 기업이 65.9%로 대다수였으며, 업력이 10년 이상 된 기업은 9.7% 비중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 기상산업협회, 무인이동체연구조합과 업무협약 체결2021.09.29
- 드론·도심항공교통 등 국내 ‘무인이동체’ 기술 한자리에2021.09.26
- 정부, 내년 무인이동체 기술개발에 380억원 투자2020.12.17
- 건국대, 과기부 ‘무인이동체 원천기술 개발사업’ 선정2020.07.12
기업 3곳 중 2곳인 62.3%의 기업은 자체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었고, 사업장 소재지는 절반 이상인 58.8%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이주원 과기정통부 융합기술과장은 “정부의 다각적인 정책에 힘입어 높은 매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사업 등 정부의 R&D 과제들이 완료되는 2020년대 후반쯤 내실 있는 성장기에 들어설 것”이라며 “아직 국내 무인이동체 시장이 공공부문 의존도가 높아 민간시장 확대를 위한 각종 서비스 등 사업모델 개발 노력도 필요하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