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탄소중립 국가표준 100종 개발…국제표준 400종 도입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수립…이행방안 논의

디지털경제입력 :2021/11/30 13:06    수정: 2021/11/30 16:47

정부가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과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탄소중립 국가표준 100종을 개발하고 국제표준 400종을 도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30일 오후 서울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제3차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협의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을 발표한다.

국표원은 지난 2월 업계와 대학, 연구소, 협회·단체 등 37개 기관이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인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협의회를 발족, 9개월 간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분과위원회 활동을 통해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을 수립해 왔다.

정부는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에 따라 국내 탄소감축 결과를 해외에서 인정받기 위한 상호인정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2050년까지 신규 국가표준 100종을 개발할 계획이다.

에너지전환 분야에서는 차세대 태양전지 성능평가,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안전성 요구사항 등 표준 41종을 개발한다.

산업부문별 저탄소 분야에서는 전기로 고철 스크랩 분류, 주행중 전기차 무선충전 통신 요구사항 등 표준 44종을 개발할 계획이다.

국가기술표준원

자원재활용 분야에서는 제품 순환성 설계방법 등 에코디자인 기준, 광물 탄산화에 의한 탄산칼슘 성능평가 등 표준 12종을 표준화한다.

업종별 탄소중립 선언 가이드, 수출 주력 제품의 탄소배출량 산정 방법, 녹색금융 등 3개 표준도 개발한다.

정부는 또 국제표준화기구(ISO/IEC)가 제정한 탄소중립 관련 국제표준 약 700여건 가운데 산업계 적용 가능성과 기술혁신성 등을 고려해 400종을 도입한다.

수전해 수소발생기(ISO 22734), 풍력발전 타워 및 기초설계 요구사항(IEC 61400-6) 등 217종, 산업 부문별 저탄소화 분야에서 전기차 자기장 무선 전력전송 및 안전(ISO 19363), 교체형 LED 모듈(IEC PAS 63166) 등 163종을 도입할 예정이다.

또 자원 효율성 분야에서는 전기·전자제품 재료 효율성 설계(IEC TR 62824)와 탄소 파이프 수송시스템(ISO 27913) 등 20종을 도입한다.

관련기사

▲가정·건물용 연료전지 ▲산업설비 등 재제조 인증 ▲전기차 폐배터리 등 우수재활용제품인증(GR) 등 12종의 KS 인증을 추진한다. 실리콘 태양광 모듈(KS C 8561)에 양면형 모듈을 추가하는 등 기존 8종의 KS 인증을 정비할 계획이다.

이상훈 국가기술표준원장은 “탄소중립은 지금까지 산업발전 경로를 전환하는 도전적 과제이지만 에너지전환 등 저탄소 기술을 확보하여 새로운 변화에 주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면서 “탄소중립 전주기 지원을 위해 우리가 세운 표준화 전략을 차질없이 이행해나갈 수 있도록 산·학·연 분야별 전문가들이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