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장이 국민연금 체납해 근로자 납부시 가입 기간 인정해준다

무소득 연금수급자 정산방식도 개선…‘국민연금법 시행령’ 개정안 23일 국무회의 의결

헬스케어입력 :2021/11/23 17:24

앞으로 사업장이 국민연금을 체납해 근로자가 이를 대신 납부하면 가입 기간을 인정받을 수 있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내용이 포함된 ‘국민연금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이 2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다음달 9일부터 근로자 체납보험료 납부 시 가산이자 규정에 대해 바뀐 법이 적용된다.

앞으로 사업장이 국민연금을 체납해 근로자가 이를 대신 납부하면 가입 기간을 인정받을 수 있게 된다. (사진=픽셀)

사업장이 연금보험료를 체납해 근로자가 납부기한으로부터 10년이 지난 체납보험료를 이자를  더해 납부할 시 가입 기간을 인정받게 된다. 이자율 적용 시 국세환급가산금 이율은 1.2%다. 이에 따라 이후 체납보험료를 사용자로부터 납부 받거나 징수 받는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세환급가산금 이자율(1.2%)을 더해 근로자에게 돌려주게 된다.

또한 내년 4월부터는 소득 활동에 따른 연금급여 초과지급분 정산 시 공제액은 연금액의 2분의 1로 정해진다. 소득이 없는 수급권자는 5분의 1을 초과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연금 수급권 발생 이후 혼인·입양 등에 따른 부양가족연금 대상자 확인을 위해 혼인일·입양일 등 가족관계 성립일을 확인할 수 있는 입증자료로 ‘기본증명서’와 ‘혼인·입양관계증명서’ 등이 추가됐다. 추가하였다.

관련기사

아울러 국민연금기금운용전문위원회의 설치 근거를 법률로 상향, 관련 내용이 정비됐다.

복지부 정호원 연금정책국장은 “근로자의 연금수급권이 강화될 것”이라며 “소득이 없는 연금수급자에 대한 정산방식도 개선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