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지호 닥터나우 "비대면 진료 정부 감독·관리 체계 필요"

정치권, 7일 복지위 국감서 비대면 진료 플랫폼 순기능·우려점 논의

중기/스타트업입력 :2021/10/08 10:54

장지호 닥터나우 대표가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부에서 비대면 진료 산업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면 이를 기준으로 안전체계 구축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날 복지위 국감에서는 비대면 진료의 효용성과 부작용 등을 놓고 여러 의견들이 논의됐다.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비대면 진료 플랫폼으로 약물 오남용, 약 배송 시스템 악용, 특정 병•의원에 대한 이용 쏠림 현상 등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장 대표는 “내부에서 철저한 관리 감독으로 오남용, 배송 등과 관련된 의료사고를 방지하고자 최선을 다했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우려되는 주요 부작용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동종 스타트업 13곳과 협의체를 개설했고, 보건 당국에서도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주면 안전체계 구축 위해 따르겠다"고 덧붙였다.

닥터나우 로고

한편 이날 국감에서는 비대면 진료 플랫폼의 순기능도 언급됐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코로나19 상황에서 한시적 시행되는 비대면 진료가 국민 편익에 큰 기여를 했고, 의료계에서 제기한 안전성 부족 등의 우려가 있었지만 직접 시행해 보니 문제가 크게 드러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또 “단계적인 일상 회복으로 갔을 때 가장 중점적인 부분은 경증, 무증상 환자에 대한 재택 치료 방안"이라며 "안전한 체계를 위해 의약계 전문가들과 필요한 논의 및 조치를 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현영 의원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발생한 의료 공백을 정부 대신 비대면 진료 플랫폼이 메운 점도 있다”며 “자가격리자, 워킹맘 등 많은 고객들이 비대면 진료 플랫폼 이용에 만족하고 있다. 소비자 수요를 맞추면서 공공과 민간이 상생할 수 있도록 당국에서 비대면 진료를 과감히 이끌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장 대표는 질의응답 말미에 “의료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환경에서 닥터나우를 통해 도움 받는 분들을 생각하면 '한시적 운영'이라는 현실이 버겁다. 향후 의료 시스템과 환경 개선을 고민했을 때 비대면 진료는 꼭 필요하다”라며 “정부에서 환자들의 실질적인 편의 위한 대책 마련과 관리에 나서준다면 적극 협력하고 안전한 체계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제언했다. 

닥터나우는 비대면 진료 허용 후 향정신성의약품이 과다 처방됐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최근 코로나 블루, 자살율 증가 등 여러 상황으로 인해 정신과 진료 수요가 높아졌을 가능성도 고려해 봐야 한다”며 “본질은 '약물 오남용을 막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DUR(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 시스템을 활용해 진료 및 처방 금지도 가능하고 처방 관련 모니터링 시스템 고도화에 닥터나우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