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외국인직접투자 신고기준 182억달러…41.3% 증가

K-뉴딜·신산업·소부장 등 첨단분야 외투 증가…도착기준 117억4천만달러

디지털경제입력 :2021/10/08 06:37    수정: 2021/10/08 09:16

산업통상자원부는 K-뉴딜·신산업·소부장 등 첨단분야 투자 호조로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신고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3% 증가한 182억1천만달러, 도착기준 40.9% 증가한 117억4천만달러를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산업부는 신고·도착 모두 3분기 누적 역대 2위 실적을 기록하는 등 코로나19 이후 안정적 국내 기업환경에 대한 대외 신뢰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정종영 산업통상자원부 투자정책관이 7일 정부세종청사 산업부 기자실에서 '2021년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을 브리핑하고 있다.

특히 K-뉴딜·신산업·소부장 등 첨단분야의 지속적인 투자유입은 세계적 공급망 재편 대응 과정에서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생산시설, 항체치료제 R&D 센터 등 신규 투자유치는 K-글로벌 백신허브 전략 추진에 힘을 보탰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1% 감소한 30억9천만달러에 그친 반면에 서비스업은 60.8% 증가한 143억2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제조업에서는 전기전자와 운송기계, 금속이 각각 11%, 15.3%, 238.4% 증가했고 기계장비·의료정밀, 식품, 의약이 22.1%, 74.6%, 84.1% 감소했다. 전기전자 세부 업종 가운데 반도체 제조업은 136.3%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정보통신이 252.9%, 사업지원·임대가 2천681.2%, 도·소매(유통)가 134.5% 증가했다. 여행플랫폼 업체 A사가 14억6천만달러를, 클라우드서비스 업체 B사가 2천만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국가별로는 미국·EU·일본 등은 증가로 전환하고 중화권은 증가 폭이 다소 둔화했다.

미국은 8.6% 증가한 33억달러를 기록했다. 제조업은 59% 감소한 5억1천만달러, 서비스업은 38.8% 증가한 24억9천만달러다.

관련기사

EU는 173.2% 증가한 73억3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제조업이 6.1% 증가한 10억달러, 서비스업은 274.7% 증가한 60억7천만달러다.

중화권은 25.7% 증가한 50억9천만달러였다. 제조업은 45.1% 감소한 6억3천만달러에 그친 반면에 서비스업은 50.7% 증가한 42억8천만달러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