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 남단서 수중 자생생물 무더기 발견

잠복의 명수 연산호유리망둑 등 수중 생물 37종 발견

과학입력 :2021/09/14 12:01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제주도 서귀포 남단 수심 30~100m 지역을 중심으로 바다거미류 등 신종 5종을 포함해 수중 자생생물 37종을 발견했다고 14일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특수과학잠수기술을 통해 올해 3월부터 최근까지 그간 접근이 어려워 연구가 제한적이었던 제주 서귀포 남단 수심 30~100m 지역을 중심으로 바다거미류, 요각류, 갯민숭달팽이류 등의 자생생물을 찾아냈다.

신종 5종은 로이미아류와 디알리코네류 갯지렁이류 2종, 메소폰소폰토니아류와 페리오클리메니우스류 새우류 2종, 요각류인 필로포도사일러스류 1종이다.

바다거미류
요각류(왼쪽)와 갯지렁이류

이번 연구에서 발견된 생물종 가운데 연산호유리망둑(가칭)과 해송투명새우(가칭)는 산호과 및 해송과와 공생관계이며, 몸이 반투명한 의태를 보여 숙주와 구별하기 힘든 특징을 갖고 있다.

연구진은 이러한 공생관계를 통해 종의 형태적 진화가 이뤄진 것으로 보고 공생생물 간의 연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심층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관련 연구 결과를 올해 안으로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자생생물 37종의 학명을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해 생물자원 가치를 부여할 계획이다.

2020년 12월 말 기준으로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된 생물 종 수는 5만4천428종이며 우리나라에는 약 10만 여종의 생물이 사는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기사

새우류(왼쪽)와 갯민숭달팽이류

또한 이번 조사·연구를 통해 발굴된 자생생물종의 표본을 국립생물자원관 수장고에 영구 보존하고 앞으로 필요에 따라 관련 연구자와 국민에 공개할 예정이다.

박진영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이번 연구결과로 수중 생물자원의 무한한 발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관련 자생생물 정보를 기후변화에 대한 생물다양성 변동 양상을 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