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협력사와 함께 ‘RE100’ 전환 나선다

1차 협력사 30여 곳 대상 ‘RE100’ 추진 배경 및 목표 소개

디지털경제입력 :2021/09/03 09:43

LG에너지솔루션이 협력회사와 함께 ‘RE 100’ 전환에 적극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은 2일과 3일 이틀에 걸쳐 1차 협력회사 30여 곳을 대상으로 ‘RE100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재생에너지 관련 글로벌 동향, 향후 공급망 재생에너지 전환 목표, 조달방안 등을 공유하고 협력회사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인터배터리 2021 전시회에 마련된 LG에너지솔루션 부스. 사진=지디넷코리아

또한 국가별·지역별 제도와 여건을 감안해 협력업체가 최적의 재생에너지 전환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관련 노하우를 전수하는 등 지속적인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 협력회사 대상으로 온라인 설명회를 진행한 것은 배터리 제조과정에서 나오는 상당 부분의 온실가스는 배터리 소재인 양극재·음극재·분리막 등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배터리 전 생애주기 분석에 따르면, 배터리 1kWh당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70 이상이 원재료 공급망에서 발생한다. 원재료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상당 부분은 전력 소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배터리 제품의 친환경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재료 협력회사의 사용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배터리 소재인 양극재·음극재 등 주요 소재 협력회사를 대상으로 ‘RE 100’ 전환을 우선 추진하고 나머지 소재에 대해서도 오는 2030년까지는 순차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한편,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은 오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0)인 ‘탄소중립’을 이루겠다는 목표를 밝혔으며, 그 외 주요 선진국도 앞다퉈 국가 차원의 중장기 탄소중립 목표 및 정책들을 구체화하고 있다. 최근 GM·폭스바겐·애플 등 글로벌 기업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계획을 잇따라 발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7월 ‘We CHARGE toward a better future’라는 ESG 비전과 경영전략을 발표하며 ESG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관련기사

특히 ‘RE 100’ 캠페인보다 20년을 앞당겨 2030년까지 세계 모든 사업장의 전력 사용을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재생에너지 전환 ▲공정 개선을 통한 에너지 효율 향상 ▲고효율 설비 도입 등을 추진해 2050년에 온실가스 배출을 제로(Zero)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