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형 강우레이더 관측망 구축…국지성 집중호우 감시

기후변화 선제 대응…소형 강우레이더 구축계획 점검

디지털경제입력 :2021/08/30 03:10

환경부가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성 홍수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국 7곳에 소형 강우레이더를 추가 설치한다.

환경부는 지난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홍정기 환경부 차관 주재로 통합물관리추진단 회의를 열고 소형 강우레이더 관측망 구축계획 중점 점검을 비롯해 기관 합동 풍수해대응 혁신종합대책 이행상황, 하천 수해 복구현황 등을 살펴봤다. 이날 회의에는 환경부를 비롯해 국토교통부, 기상청, 한국수자원공사, 유역(지방)청, 홍수통제소 관계자가 참석했다.

홍정기 환경부차관이 27일 오후 환경부 종합상황실에서 '통합물관리추진단' 5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회의에서 환경부는 2025년까지 울산·부산·광주·전주·대전·세종·청주 등 7곳에 소형 강우레이더를 추가로 설치한다. 2019년에 설치한 삼척·울진을 합하면 전국 9곳으로 늘어난다.

소형 강우레이더 관측망은 반경 40km 도시지역의 강우를 고해상도로 관측할 수 있다. 관측망 구축이 완료되면 각 지역 홍수예보 정확도가 개선돼 국지적인 돌발홍수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환경부는 소형 강우레이더 관측망 정보와 기존에 구축한 대형 강우레이더 관측망 생산 정보를 유기적으로 통합 관리해 홍수예보 능력을 더욱 높일 계획이다.

대형 강우레이더 관측망은 반경 125km 지역을 관측하며, 임진강·비슬산·소백산·서대산·모후산·가리산·예봉산 등 전국 7곳에 설치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여름철에 발생한 하천 수해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복구가 신속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각 기관에 협조를 당부했다.

홍정기 환경부차관이 27일 오후 환경부 종합상황실에서 '통합물관리추진단' 5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환경부는 이외에도 기후변화로 인해 증가하는 홍수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댐-하천 연계 홍수조절능력 평가 연구 등을 통해 댐의 홍수기 제한 수위를 재검토하고 댐의 최적 방류량에 기반해 하류 하천의 정비 방안을 추가로 마련할 계획이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기후변화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하는 국지성 집중호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강우량 등의 핵심 정보를 빠르게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환경부는 홍수예방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기반시설 구축 및 정보 제공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