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콜롬비아, 경제·청정에너지 협력 강화

콜롬비아 대통령 방한…한-콜롬비아 무역·투자포럼 및 에너지장관 회담 개최

디지털경제입력 :2021/08/25 18:08

한-콜롬비아 경제협력위원회가 설립된다. 또 콜롬비아와 인공지능·청정에너지·미래자동차 등 미래첨단 분야 협력이 이뤄질 전망이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5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한-콜롬비아 무역·투자 포럼’에 참석했다.

이반 두케 마르케스 콜롬비아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계기로 열린 이번 행사를 계기로 대한상공회의소와 보고타상공회의소 간 ‘한-콜 경제협력위원회 설립 MOU’ 서명식을 갖고, 경제협력위원회 설립을 통해 정기적인 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투자 설명회 개최 등 양국 간 경제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이 25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디에고 메사 푸요 콜롬비아 광물에너지부 장관과 환담하고 있다.

문승욱 장관은 포럼 축사에서 2016년에 발효된 한-콜롬비아 자유무역협정(FTA)은 양국 간 무역과 투자를 확대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하고 한-콜롬비아 간 경제협력 확대 방안을 제시했다.

문 장관은 ▲한-콜롬비아 FTA 활용률 제고를 통한 교역 확대 ▲인공지능·청정에너지·미래자동차 등 미래 첨단 분야 협력 ▲양국 간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긴밀한 보건 협력 등을 통해 경제 활성화와 무역·투자를 확대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문 장관은 이날 디에고 메사 푸요 콜롬비아 광물에너지부 장관과 만나 한-콜롬비아 청정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문 장관은 “한국은 화석연료 위주 에너지 시스템을 재생에너지·수소 등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바꾸기 위한 에너지전환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고 밝히고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에 동참하기 위해 작년 말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올해 안에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수립, NDC 추가 상향과 함께 산업·수송·에너지 등 분야별 세부 실행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메사 장관은 “콜롬비아 정부 역시 지난해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이를 위해 태양광·풍력 중심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적극 추진 중이며 올 하반기 중 ▲수소 생산 ▲수소 모빌리티 및 충전 인프라 확충 ▲기술개발 촉진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국가 수소경제 이행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5일 디에고 메사 푸요 콜롬비아 광물에너지부 장관과 청정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문 장관은 “수소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주요 대안이자 미래 유망 신산업”이라며 “한국 정부 역시 2019년 1월 수소 로드맵을 발표하고 지난해 2월 세계 최초로 수소법을 제정하는 등 수소경제 이행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 장관은 콜롬비아의 수소 생산 여건과 한국의 수소활용 분야 기술력·보급 경험 등 양국의 강점을 살린 상호 호혜적 협력 사업을 적극 발굴해 추진해나갈 것을 제안했다.

관련기사

양국은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국제공조와 협력이 필수라는 점에 공감하고 탄소중립 목표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양국이 보다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한편, 이날 한-콜롬비아 무역·투자 포럼에는 콜롬비아에서 두케 대통령, 롬바나 상공관광부장관, 니콜라스 우리베 보고타상공회의소 회장 등 정부와 기업인 19명, 한국 측에서는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등 정부와 기업인 30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