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AZ·2차 화이자 접종 시 중증 이상반응 없고 중화항체 100% 형성

질병청 499명 대상 비교 연구 "높은 수준 항체가 확인”

헬스케어입력 :2021/07/26 15:22    수정: 2021/07/26 15:30

국내 연구에서 아스트라제네카(AZ백신)·화이자 백신 교차접종 결과, 높은 수준의 효능이 확인됐다. 국내 연구진은 교차접종에 따른 중증 이상반응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각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효능은 일부 감소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는 수도권 10개 의료기관 소속 499명의 의료인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진행했다. 비교 대상은 ▲AZ백신 동일접종 199명 ▲화이자 백신 동일접종 200명 ▲1차 AZ-2차 화이자 교차접종 100명 등이다. 

연구진은 각각의 ▲중화항체가 ▲변이주에 대한 중화능 ▲이상반응 등을 분석했다. 중화항체란, 바이러스 감염을 중화시켜 예방효과를 유도하는 항체를 말하며, 중화능은 바이러스를 무력화할 수 있는 능력이다.

국내 연구에서 아스트라제네카(AZ백신)·화이자 백신 교차접종 결과, 높은 수준의 효능이 확인됐다. 국내 연구진은 교차접종에 따른 중증 이상반응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각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효능은 일부 감소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1차 접종 후 중화항체 생성률은 AZ백신 접종군에서 96%, 화이자 접종군에서 99%였고, 2회 접종 시 동일 백신 접종군과 교차 접종군 모두에서 100% 중화항체가 생성됐다.

특히 교차 접종군은 중화항체가가 AZ백신 2회 접종군에 비해 6배 높았고, 화이자 접종군과는 유사했다.

또 변이바이러스 중화능 비교 분석 결과, 교차 접종군과 동일백신 접종군 모두에서 알파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능은 감소하지 않았다. 베타·감마·델타 변이에 대한 중화능은 2.5배~6.0배 감소했다.

이와함께 AZ백신 접종자의 이상반응은 2차 접종 시 1차 접종 시보다 더 적었고, 화이자 백신 접종자의 경우, 1차 접종 때보다 2차 접종 후에 더 많았다. 교차 접종군에서 2차 화이자 접종 시 발생한 이상반응은 AZ백신 동일접종 2회 접종군 보다 많았다. 화이자 백신 동일접종 2회 접종군과는 유사했다.

관련기사

백신 접종 후에도 코로나19에 감염되는 이른바 ‘돌파감염’과 관련해 백경란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은 26일 질병청 정례브리핑에서 “중화항체가 생성되지만 역가가 낮으면 돌파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며 “(변이바이러스에 대해) 중화능이 떨어졌다는 것과 돌파감염에 취약해졌다는 것은 중화항체 역가가 떨어져 있다면, 그만큼 방어력이 감소할 가능성은 더 많고 돌파감염에도 조금 더 취약할 수 있겠다고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백 이사장은 “면역은 중화항체뿐만 아니라 세포면역이 같이 관여하기 때문에 중화항체 하나만 가지고 방어력이 충분하다, 불충분하다고 평가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