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청해부대 집단감염 사태에 사과했다.
문 대통령은 23일 본인의 페이스북에 “청해부대는 대양을 무대로 우리 군의 위상을 드높였고,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켜 왔다”며 “청해부대 부대원들이 건강하게 임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살피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걱정하실 가족들에게도 송구한 마음”이라며 “청해부대의 자부심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비록 문 대통령이 사과를 했지만, 청해부대의 미흡한 방역 조치가 하나, 둘씩 드러나고 있다. 청해부대 장병들이 귀국 전날 배 소독에 동원됐다는 장병 인터뷰가 보도된 데 이어 자가검사키트를 미지참하고 출항한 사실도 확인됐다.
여기에 국방부가 청해부대 사건을 이른바 ‘셀프조사’ 한다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국정조사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관련기사
- 청해부대 301명 중 266명 확진…2명은 산소마스크 필요한 중등도 환자2021.07.21
- 에너지 안보가 곧 국가 경쟁력…전력 인프라 대전환 시급2025.05.09
- [AI는 지금] 오픈AI '비영리' 유지…AI 산업 기준선 바꿀까?2025.05.11
- 美 '팍스이스트2025' 찾은 韓 게임...붉은사막-갓 세이브 버밍엄 눈길2025.05.11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 겸 국립보건원장은 23일 정례브리핑에서 “방역당국은 이 사안을 엄중하게 판단하고 있다”며 “청해부대·국방부·합참 등을 조사해 사실관계를 확인해 정확하게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2일부터 중앙사고수습본부(질병관리청)와 국방부(국군의무사령부)의 역학조사담당 부서장을 공동단장으로 민·관·군 합동역학조사단이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 조사단에는 ▲민간전문가 2∼3명 ▲질병관리청 7명 ▲국군의무사령부 및 해군 8명 등이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