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드론·로봇으로 허난성 폭우 구조 작업

통신 드론 띄워 기지국 역할…인명 구조 로봇도 활용

홈&모바일입력 :2021/07/23 08:59    수정: 2021/07/23 11:09

중국이 기록적 폭우로 수해를 입은 허난성에서 드론과 로봇을 동원해 복구 작업을 벌이고 있다.

22일 중국 언론 양광왕에 따르면 통신 시설이 마비된 허난성 정저우시에 중국 최대 통신사 차이나모바일이 '이룽(翼龙)-2H' 드론을 투입했다.

21일 투입된 이룽-2H 드론은 통신이 중단된 미허(米河)진에서 5시간 가량 공중 응급 통신 기지국을 역할을 했다. 이 드론은 50㎢ 구역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회복시키고 최대 1500㎢를 규모의 음성 및 영상 통신망을 커버할 수 있다. 지진, 홍수, 산사태 등 재해 면적이 큰 상황에서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대형 드론 이룽-2H 이미지 (사진=AVIC)

21일 오후 6시 20분 경 투입된 이 드론이 한 차례 임무를 마친 저녁 11시 20분 기준 접속자는 약 3500명에 이르렀으며 2089M 데이터가 사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고립된 시민들을 외부와 연결해주는 셈이다. 순간 최대 접속 사용자가 648명이었다.

중국 항공 국유 기업인 AVIC가 개발한 이 드론은 국가적 응급 상황을 위해 운영되며 이번엔 차이나모바일의 무선 통신 기지국을 탑재했다. 차이나모바일의 응급 대응 알고리즘과 4G 및 5G 통신 기술, 그리고 위성을 접목했다.

차이나모바일은 드론과 함께 이 지역 주민에 문자를 발송해 "폭우로 통신이 중단되면서 중국 응급관리부가 긴급히 드론을 상공에 띄웠다"며 "차이나모바일의 통신의 회복됐으며 5시간 가량 통신이 가능하니 가족, 친지와 연락하라"고 전했다.

인명 구조 로봇 '하이툰 1호' 이미지 (사진=런민왕)

사람을 대신해 물 속에 뛰어들어 인명을 구해내는 수상 구조 로봇도 투입됐다.

관련기사

중국 로봇 기업 윈저우(WINZHOU)가 개발한 수상 구조 로봇 '하이툰 1호' 118대가 투입돼 인명 구조 활동에 사용됐다. 통상 배를 타고 구조 작업을 벌이기 위해 두 명 이상의 구조자 중 한 명이 물에 입수해야 하지만, 이 로봇은 스스로 물에서 요구조자를 탐색해 뭍이나 배로 끌고 올 수 있다. 원격 제어도 가능하다.

200 kg 무게까지 감당할 수 있으며, 800m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한번 충전으로 35분 가량 동작할 수 있는 이 로봇은 수상 인명 구조 활동에서 효율적인 구조를 돕고 있다. 지난해 7월 장시, 후베이 지역의 홍수 사태에도 투입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