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송부문 미래자동차 전환 전략'을 연말까지 마련해 내연기관차 퇴출 시기를 확정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오후 화상회의로 진행된 '제2차 자동차산업 탄소중립협의회'에서 "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우리 자동차 산업경쟁력을 제고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자동차 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을 통해 법·제도적 지원 기반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환경부는 오는 2050년까지 무공해차 100% 전환을 통해 내연기관차를 퇴출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퇴출 시기는 유럽의 사례를 참고해 2035~2040년경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친환경차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대규모 수요창출과 충전편의 혁신을 위한 미래차 전환은의 법적기반이 마련됐다. 이 법은 전기차 충전기 설치 의무를 친환경차 구매목표제를 도입한 신축건물을 넘어 기축건물로 확대했다.
산업부는 올해 4엔 탄소중립연료의 산업적 가치와 잠재력을 검증하기 위한 탄소중립연료(E-fuel) 연구회를 발족했다.
완성차·부품업계도 2050 탄소중립에 자발적으로 동참하고, 친환경차 전환과 기술혁신을 촉진키 위해 '자동차산업 탄소중립 협의회'를 발족했다.
이날 회의는 협의회의 2차 회의로, 2050 탄소중립 공동선언 이행을 위해 자동차 산업이 친환경차 분야로 신속히 전환하면서 생산기반과 일자리를 유지·확대할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됐다.
회의에 참석한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수송부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전기차·수소전기차 등 무공해차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며 "수요관리 강화와 기술혁신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민경덕 서울대 교수는 "수송분야 탄소중립 수단으로 탄소중립연료(e-fuel), 차세대 바이오연료, 수소엔진 등 다양한 기술이 국내외에서 개발·실증되고 있다"며 "중대형차 분야에서 탄소중립연료가 수소전기차와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이산화탄소(CO2) 회수기술과 수소·CO2 합성 기술은 경제성 확보와 대량생산을 위한 연구·개발(R&D)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관련기사
- 한국판 뉴딜 1주년…"14일 하루 수소차 충전료 20% 할인"2021.07.12
- 물류·유통·운수업계 "2030년까지 100% 무공해車 전환"2021.05.26
- 문승욱 장관 "미래차 전환은 시대적 과제…정책 지원 강화"2021.05.12
- 환경부, 제2차 '2050 탄소중립 열린소통포럼' 개최2021.04.30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박사는 "탄소중립연료는 내연기관차에 적용할 수 있어 자동차부품과 정유업계의 친환경차 전환과정에서 완충역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고 했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장도 "자동차산업은 탄소중립을 성장동력 창출로 연계할 수 있는 대표산업"이라며 "급속한 성장이 예상되는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선 정부와 업계의 긴밀한 협력과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