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준 실장 "탄소중립연료 ‘e-fuel’ 탄소중립 실현 수단 발굴”

산업부, e-fuel 연구회 3차회의서 e-fuel 적용·확산 기술·정책 과제 논의

디지털경제입력 :2021/07/14 09:53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은 14일 “탄소중립연료(e-fuel)를 다른 대체 연료나 기술과 비교·분석해 탄소중립을 가장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수단을 발굴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 실장은 이날 온라인 영상회의로 개최한 ‘e-fuel 연구회 3차 회의’에서 “e-fuel 기술은 수송 분야 뿐만 아니라 석유화학·발전 등 다른 산업에도 적용돼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 사진=지디넷코리아

3차 회의에서는 석유관리원이 BTL(Biomass to liquid) 등 합성연료를 내연기관에 적용했을 때 연료 품질, 배출가스 등을 분석한 ‘합성연료의 내연기관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현대자동차는 ‘내연기관 관점에서 e-fuel의 효용성’을 발표했다. 현대차는 e-fuel이 기존 내연기관 인프라와 호환 가능해 전기차 인프라 구축 시간을 고려할 때 탄소중립 연료로 효용성 증가한다고 밝혔다.

에너지공단은 ‘e-Fuel 확산을 위한 정책과제’를 발표했다. 연구개발(R&D) 지원, 인센티브 도입 등 e-fuel 추진에 대한 석유·수송업계의 제안사항을 공유했다.

관련기사

e-fuel 연구회는 탄소중립 실현 수단으로 검토되고 있는 e-fuel을 검토·논의하기 위해 지난 4월 출범, 1차 회의에서는 e-Fuel 글로벌 동향과 국내 여건, e-Fuel의 장점 및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1차 회의에서는 이산화탄소(CO2) 포집 방안, 경제성 개선 등이 e-fuel 상용화의 핵심과제라는 의견이 나왔다.

5월에 열린 2차 회의에서는 CO2 포집 방안(공기 중 직접 포집, 차량 포집 등)과 생산 경제성 확보 방안에 대해 논의했고 참석자들은 RFS(Renewable Fuel Standard) 등과 같은 정책적 수단과 기술향상을 위한 정부 R&D 지원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