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본격 추진

171억원 투입해 전국 4개 권역에 거점수거센터 구축

디지털경제입력 :2021/06/29 10:00

환경부는 '전기·전자제품·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안이 2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다음달 6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시행령 개정안엔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등을 회수·보관·재활용하기 위해 환경부 장관이 설치하는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의 운영업무를 한국환경공단에 위탁하는 내용이 담겼다.

환경부는 경기 시흥, 충남 홍성, 전북 정읍, 대구 달서 등 4대 권역에 사업비 171억원을 투입해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

이 센터는 전기차 소유자가 정부에 반납하는 폐배터리를 회수해 남은 용량과 수명 등 잔존가치를 측정한 후 민간에 매각하는 등 재활용체계의 유통기반 역할을 맡는다.

경기 시흥에 위치한 수도권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 사진=환경부

지난해 11월 착공해 현재 공정률이 93%인 거점수거센터는 오는 8월 준공해 시범운영을 거친 후 민간매각이 허용되는 내년부터 본격 운영한다.

현재는 폐차로 반납되는 폐배터리를 임시시설에 보관하고 있는데, 센터가 준공되면 폐배터리의 체계적인 회수·보관·민간공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환경부는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11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했다.

전기차 폐배터리를 폐기물 종류 중 하나로 신설하고, 재활용업 허가를 위해 갖춰야 할 기술·시설 기준도 별도로 마련했다.

관련기사

단순 수리·수선·재조립을 통해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ESS)나 전기자전거 배터리 등으로 재사용하는 방법과, 파쇄·분쇄·추출공정을 통해 코발트·니켈 등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재활용 방법이 있다.

서영태 환경부 자원재활용과장은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산업을 혁신성장의 기회로 보고 업계의 관심과 투자가 활발한 편"이라며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가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의 마중물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