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산업·과학·의료용 전파응용설비를 운용하는 업체의 변경허가 부담을 완화하는 ‘변경허가가 필요하지 아니한 무선기기 및 전파응용설비’ 고시를 개정하고 1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고시 개정은 지난 5월말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K-반도체 전략 세부 추진과제의 하나로 반도체 제조공정에 활용되는 전파응용설비의 설비교체에 수반되는 절차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전파응용설비는 산업·과학·의료 등의 분야에서 물체를 가열·절단·세척 하는 공정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출력 50와트 이상의 설비를 설치 또는 변경할 때는 전파법령에 따라 허가와 준공검사를 받아야만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고시 개정으로 전자파차단이 가능한 다중차폐시설을 갖춘 시설에서 이미 허가받은 사항과 동일 형식, 동일 성능의 전파응용설비로 교체하는 경우 변경허가가 면제된다.
관련기사
- 빠른 전파·백신 내성·높은 치명률…"고위험 변이 출현 시간문제”2021.04.15
- 전파 기반 ‘센싱·에너지전송·의료’ 확 키운다2020.11.06
- 韓개발 5G 실감콘텐츠, 유럽 진출 물꼬 텄다2020.12.23
- SKT 역대 최대 1348억원 과징금…부과 근거는2025.08.28
개정안이 적용되는 다중차폐시설을 갖춘 대규모 산업용 공장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조경식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은 국내 수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정부에서도 우리나라가 반도체 종합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며 “고시 개정으로 전파응용설비 교체에 따른 변경허가와 준공검사 절차가 생략돼 관련 분야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