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가 인수한 佛 이포스케시, 유전자·세포 치료제 2공장 증설

약 800억원 투입해 2023년 완공…바이오 CMO 포트폴리오 확대

헬스케어입력 :2021/06/14 10:30

SK㈜가 지난 3월 인수한 프랑스 유전자·세포 치료제(GCT) 위탁생산(CMO) 이포스케시(Yposkesi)가 본격적인 증설에 나선다.

14일 SK㈜에 따르면 이포스케시는 약 5천800만 유로(약 800억원)을 투자해 최첨단 시설을 갖춘 유전자·세포 치료제 제2 생산공장 건설에 착수했다.

2공장은 5천㎡ 규모로 오는 2023년 완공돼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이포스케시는 현재의 2배이자 유럽 최대 수준인 1만㎡ 규모의 유전자·세포 치료제 대량생산 역량을 갖추게 된다.

신규 공장은 미국과 유럽의 선진 GMP(cGMP) 기준에 맞춰 설계된다. 제1공장이 위치한 프랑스 바이오클러스터인 제노폴(Genopole)에 함께 위치한다.

SK㈜가 인수한 프랑스 이포스케시의 생산시설. 사진=SK㈜

신규 생산시설은 바이오 의약품 중 특히 치사율이 높은 희귀 질환 유전자·세포 첨단치료제의 글로벌 생산 공급지로 떠오를 전망이다.

유전자·세포 치료제는 유전 결함으로 발병하는 희귀 질환을 1~2회 유전자 주입해 완치하는 혁신적인 개인 맞춤형 치료제다. 고가에도 월등한 치료 효과로 높은 성장세를 보인다.

이 치료제는 미국과 유럽에서 현재 임상 개발 중인 바이오 의약품 중 약 50% 비중을 차지한다. 딜로이트 등에 따르면 2025년까지 연평균 25% 고성장해 현재 가장 큰 바이오 의약품 시장인 항체 치료제를 능가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희귀병인 척수성 근육 위축증을 치료하는 최초 유전자 치료제인 '졸겐스마'도 미국·캐나다·일본에 이어 최근 우리나라와 영국에서도 판매 허가를 받았다.

이동훈 SK㈜ 바이오투자센터장은 "이번 증설로 이포스케시는 급성장이 예상되는 유전자·세포 치료제의 대량생산과 상업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질을 갖추게 될 것"이라며 "이포스케시는 초기 단계 임상실험부터 상업화 후 대규모 생산에 이르기까지 신약 개발 모든 단계에서 최고 수준의 생산 역량을 갖추게 된다. 해외 시장 확장 등 SK팜테코와의 다양한 시너지도 기대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