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MA "탄소중립 위해 하이브리드車 세제 감면해야"

'하이브리드차 보급 필요성과 정책과제 보고서'서 "미세먼지 감축 현실적 대안"

디지털경제입력 :2021/06/03 15:45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3일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세제 혜택을 지속·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이날 발표한 '하이브리드차 보급 필요성과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하이브리드차 세제 감면은 전기차 전환 과정에서의 산업계 충격을 낮추고, 2050 탄소중립 정책과 미세먼지 감축 정책의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KAMA는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정부지원이 지난 2017년 총 383만원에서 올해 183만원으로 매년 50만원씩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이브리드차의 높은 연비로 인해 운행할수록 경제적이라는 인식이 크게 작용하면서, 보조금 축소세에도 하이브리드차는 최근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RV차량의 경우, 2019년 대비 지난해 디젤차 비중이 50.1%에서 41.2%로 감소했지만, 하이브리드차 비중은 3.9%에서 8.1%로 증가하는 추세다.

KAMA는 "세제지원이 없으면 소비자에게 하이브리드차가 가지는 매력이 상당부분 반감될 수밖에 없다"며 "하이브리드차가 탄소중립과 미세먼지 감축 정책의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했다.

사진=Pixabay
차량 유종별 전주기 CO2 배출량. 자료=KAMA

하이브리드차는 전주기적평가(LCA) 관점에서 27.5 tCO2-eq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인 반면, 80킬로와트시(kWh)급 전기차는 최대 28.2 tCO2-eq의 배출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발전 믹스에 따라 전기차의 친환경성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지만, 2030년까지 국내 에너지발전믹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게 KAMA의 지적이다.

2017년 에너지 발전 믹스 기준으로 더 높은 친환경성을 보여준 하이브리드차가 중단기적으론 전기동력차보다 비용효율적으로 탄소중립 목표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도 내다봤다.

관련기사

배터리와 모터, 인버터, 컨버터 등 전기동력 핵심부품을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차가 전기차 전환 과정에서 중소부품업계의 부담을 최소화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국내 내연기관 부품업체들은 하이브리드차의 캐시 카우(Cash Cow) 역할을 기반으로 전기차 투자를 해야 한다"며 "지난해 기준 전기차 시장의 국산차 비중은 65%인 반면, 세제감면 요건을 충족하는 하이브리드차 중에선 국산차 비중이 87%에 달해 국내 자동차산업 육성 측면에서도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지원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