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 "특금법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에 만전 기하겠다"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에도 최선 다할 것"

컴퓨팅입력 :2021/05/21 09:44    수정: 2021/05/21 09:50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이 실소유주가 사기 혐의로 검찰 송치된 것과 관련해, 해당 사건과 빗썸은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이외에도 서비스 운영의 안정성을 높이는 등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시행에 따른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빗썸은 21일 입장문을 내고 "빗썸은 특정 주주와 연루된 BXA 사건과 관련이 없다"며 "빗썸 법인 및 빗썸 대표, 임직원 그 누구도 해당 사건과 관련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했다.

빗썸은 이 문제로 거래소 신고 통과 여부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자, 고객들의 불안을 불식시키고 안정적인 운영 의지를 밝히기 위해 입장문을 발표했다.

경찰은 지난달 23일 빗썸 실소유주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빗썸코리아 의장을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 이 씨는 2018년 10월 가상화폐 ‘BXA토큰’을 '빗썸거래소에 상장한다'는 취지로 홍보해 투자자들에게 판매했지만, 실제 상장은 이뤄지지 않아 피해를 입힌 혐의를 받고 있다. 

BXA토큰은 지난 2018년 빗썸 경영권 인수를 추진했던 BXA컨소시엄이 발행한 자체 암호화폐다. 당시 300억원 규모의 BXA토큰이 판매된 것으로 알려졌다. BXA컨소시엄은 이듬해 9월 자금 부족으로 빗썸 인수에서 손을 뗐다.

빗썸은 해당 사건에 대해 "빗썸 법인 및 빗썸 대표, 임직원 그 누구도 해당 사건과 관련이 없다"며 "당시 빗썸은 상장심사 절차는 진행하였으나 규제 이슈 및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한 조치로 BXA를 상장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또 "특정 주주는 주주의 한 사람일 뿐이며 회사 경영에 전혀 관여하지 않고 있고, 빗썸은 전문경영인 및 임직원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경영활동을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빗썸은 이번 입장문을 통해 최근 발생한 접속 지연 사태에 대해서도 사과했다. 

빗썸은 이달 잦은 접속지연 문제를 일으켰다.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접속자가 폭주하자, 거래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접속이 불가하는 등의 문제가 여러차례 발생했다. 

이에 빗썸 측은 "거래량 증가로 트래픽이 특정시간대에 폭증하면서 지연 사태가 발생했다"며 "고객들에게 불편을 끼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리고 접속 지연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빗썸은 접속 지연 재발 방지를 위해 "모든 기술적검토 후에 21일 새벽 서버 증설 등 긴급 작업을 진행하고, 지속적인 서버 확충과 회선 증대 등 작업을 통해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설명했다.

빗썸은 특금법 신고와 관련해서도 "사업자 신고를 업계 선도적으로 진행하겠다"며 "법에서 정한 절차와 규정에 따라 사업자 신고를 마치고 법적 의무를 다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