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 배터리 내재화 속도…포드도 자체 제작

"美 미시간에 배터리 개발센터 구축"…국내 업계는 "영향 미미할 것"

디지털경제입력 :2021/04/28 11:23    수정: 2021/04/28 18:57

미국 자동차 제조사 포드가 테슬라와 폭스바겐 등 글로벌 완성차 업계의 배터리 내재화 흐름에 합류했다.

27일(현지 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포드는 1억8천500만달러(약 2천58억원)를 투입해 미국 미시간 주 남동부에 배터리 개발센터를 개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포드는 리튬이온배터리를 자체 개발해 배터리 셀을 생산할 계획이다.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도 지난주 한 포럼에서 "포드는 앞으로 많은 배터리 공장을 필요로 할 것"이라며 자체 배터리 생산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포드는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생산할 때까지 외부 공급사로부터 배터리 수급을 의존할 예정이다. 내년 출시를 앞둔 포드 'F-150' 전기픽업트럭에도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가 탑재된다.

포드 순수 전기차 머스탱 마하-E. 사진=포드

배터리 내재화는 전기차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 물량 부족이 예상되면서 모든 완성차 업체가 고민하는 부분이다.

앞서 테슬라와 폭스바겐도 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를 내재화하겠다고 선언했다. 배터리 자체생산을 비롯한 전기차 수직계열화가 결국 완성차와 배터리업계 간 경계를 허물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관련기사

다만, 국내 배터리 업계는 완성차 업계의 배터리 내재화 계획에 따른 영향이 아직 미미하다는 입장이다. 완성차 업체들이 배터리를 자체 개발하기 전까진 국내 3사가 이끄는 배터리 업계에서 제품을 구매할 수 밖에 없어서다.

이와 관련해 김종성 삼성SDI 경영지원실장(부사장)은 27일 삼성SDI의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대규모 캐파를 내재화하는 데에 상당한 시행착오와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오랜 기간 기술개발과 나름의 양산 역량 노하우가 종합적으로 필요한데, 전기차 규모를 키우는 OEM 업체 입장에선 내재화 캐파만으론 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