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50대 그룹 총수 배당금 1조7800억원"…故 이건희 회장이 절반

CXO연구소 '50대 그룹 배당금 현황 분석'

디지털경제입력 :2021/04/20 14:49

지난해 국내 50대 그룹 총수가 받은 배당금이 1조7천800억원 규모이며, 이 중 절반 가량인 8천600여억원이 고(故) 이건희 회장의 몫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배당금을 받은 그룹 총수 39명의 전체 배당금(우선주 제외)은 1조7천895억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 1조3천52억원보다 37% 이상 늘어난 규모다.

전체 배당금 중 삼성가 비중(자료=한국 CXO연구소)

이건희 회장 지분에 대한 배당금은 지난해 8천626억원으로, 전체의 48.2%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2019년 이 회장이 받은 배당금(4천738억원)보다 82% 늘어났다.

이 회장 몫으로 지급된 배당금 중 86.5%는 지난해 파격적인 특별배당을 지급한 삼성전자에서 나온 것으로 조사됐다. 이 회장이 보유한 삼성전자 보통주에서 총 7천463억원의 배당금 나왔다고 한국CXO연구소는 설명했다.

이 회장의 별세로 지난해 배당금은 이 회장의 상속인들에게 돌아갔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해 2천187억원의 배당금을 받아 부친 이건희 회장에 이어 두 번째로 배당금이 많았다.

이 부회장의 배당금은 삼성전자(1천258억원), 삼성물산(751억원), 삼성SDS(170억원) 등에서 나왔다. 이 부회장은 2019년 배당금(1천426억원)보다 761억원(53.4%) 더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수 배당금 상위 현황(사진=한국 CXO 연구소)

SK 최태원 회장은 909억원으로 배당금 순위 3위였고, 4위는 현대자동차 정몽구 명예회장(833억원), 5위는 현대중공업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777억원)이었다.

이어 현대차 정의선 회장(730억원), LG 구광모 회장(696억원), 교보생명보험 신창재 회장(346억원), 한국투자금융 김남구 회장(346억원), 효성 조현준 회장(295억원) 등이 배당금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한편 이건희 회장을 포함해 이재용 부회장과 홍라희 여사(1천621억원),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각 312억원) 등 삼성 오너 일가가 지난해 받은 총 배당금은 1조3천79억원(우선주 포함)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향후 이건희 회장이 보유한 상속 재산 중 80% 이상은 삼성전자 주식이기 때문에 이 지분이 향후 상속인들에게 어떻게 나눠질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며 "크게 보면 이재용 부회장에게 삼성전자 지분이 상당수 넘어갈 것인지 아니면 협의 내지 법정상속 비율대로 나누게 되는지에 따라 해당 상속인이 받게 되는 향후 배당금 규모와 주식재산 순위 등도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2019년 수준으로 배당 정책을 이어간다고 가정할 경우 2021~2025년까지 5년간 삼성가에서 받게 될 배당금은 4조원 수준 규모가 될 것"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