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양자암호' 활용 도청방지 통신 기술 개발

국방·민간기업 재택근무시 활용 가능

방송/통신입력 :2021/03/10 16:02    수정: 2021/03/10 16:03

KT가 전용 단말을 사용하지 않고도 양자암호 도청방지(비화)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비화통신엔 그간 전용 단말인 비화기가 사용됐다. 보안이 핵심인 국방 분야와 국가정보기관 등에서 주로 쓰인다.

이번에 KT가 개발한 양자암호 기술을 적용하면 일반 스마트폰만으로도 비화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민간 기업에서도 보안 강화를 위한 양자암호 비화통신 시스템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다. 예컨대 법률 소송을 진행 중인 변호사와 고객 간 통화 내용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원격근무 시 사무실 외부 공간에서 기업 비밀이 유출될 가능성을 줄인다.

KT가 양자암호 비화통신 기술을 개발했다.

비화통신 시 수신자와 발신자의 스마트폰에 각각 ‘양자 보안통신 단말’을 연결하면 보안 모드가 활성화 되며 통화 내용이 암호화 된다. 암호화된 통화 내용은 보안 모드에서 동기화 된 ‘양자암호키’로 복호화 된다.

KT는 '양자난수 생성기'와 '양자키 분배시스템'을 결합한 기술로 보안성을 강화했다. 기존에는 양자난수 생성기 하나로 암호화했지만, 양자키 분배시스템을 추가 적용하면서 정보 보안 수준을 한층 높였다. 양자암호키 없이는 복호화가 불가능하다.

KT는 이번 양자암호 비화통신 기술을 국내 보안 스타트업 이와이엘과 공동 개발했다. 이와이엘은 미국 공군 보안 시스템 핵심 기술로 선정된 초소형 양자암호 칩 개발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번 기술 개발은 KT가 ITU-T 국제표준으로 제정된 양자암호 기술력을 상용화 가능한 기술로 구현하고, 중소기업과의 기술 협력과 상생 발전을 추진하는 컨소시엄을 조성해 이뤄낸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종식 KT 인프라연구소장은 “이와이엘과 KT의 기술력을 합쳐 철통보안 양자암호 비화통신 서비스를 개발했다”며 “KT는 국내 양자암호통신 산업 생태계 확립에 기여하고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의 혁신을 주도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