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위치정보 산업, 매출 2조원 돌파

KISA 조사 결과…"올해 2.5조원으로 성장 예상"

컴퓨팅입력 :2021/02/23 17:02

작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 매출액이 2조 331억원을 기록했으며, 올해는 23% 증가한 2조 5천177억원을 달성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3일 ‘2020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KISA는 작년 6월말 기준 방송통신위원회에 허가·신고된 1천565개 위치정보사업자를 대상으로 같은 해 7월부터 10월까지 이번 조사를 실시했다.

출처=2020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실태조사

부문별 매출액 규모는 ‘대인·대물 위치추적 및 관제서비스’가 8천644억원(42.5%), ‘생활 및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5천91억원(25%) 순으로 조사됐다. 

매출액 증가율은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가 128억원에서 240억원으로 86.7% 증가해 전년 대비 가장 높았다.

응답자들은 향후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54.3%)가 가장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위치정보와 융합 발전할 분야는 교통(41.1%)과 물류(34.8%)로 전망했다. 4차 산업혁명 확산과 더불어 앞으로는 위치정보 단말로 자율주행차, 드론, 로봇 등의 단말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위치정보사업자의 경영 애로사항은 ‘개발비용 부족’(18.6%), ‘국내 법·제도 규제’(14.9%), ‘전문인력 부족’(13.7%)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법·제도와 관련해 개인위치정보 수집·이용·제공 시 동의 획득(42.1%), 개인위치정보 수집 후 통보 절차(제3자 제공 등)(32.8%) 부분에서 어려움을 토로했다. 

관련기사

정부 지원이 필요한 사항으로는 ‘공공 인프라 및 공공 데이터 민간 개방(36.4%)', '위치정보 관련 R&D 과제 확대’(31.8%)라는 응답이 많았다.

권현오 KISA 이용자보호단장은 “위치정보 사업자들의 69%는 매출액 50억원 미만의 소기업으로, 위치정보 산업 활성화 및 기반 마련을 위해 꾸준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KISA는 매년 본 조사결과를 반영해 스타트업 지원, 맞춤형 컨설팅 등 실효성 있는 사업자 지원을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