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안전원이 오송 신청사 개청을 계기로 화학안전관리에 디지털 뉴딜을 접목해 화학안전망의 허브로 자리매김한다.
화학물질안전원이 22일 충북 청주시 오송생명과학단지에서 개청식을 갖고 오송 시대를 열었다.
2012년 구미 불산사고를 계기로 반복되는 화학사고를 예방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14년 1월 3개과 39명으로 설립된 화학물질안전원이 7년 만에 5개과 98명으로 확대해 22일 오송에 신청사를 마련했다.
화학물질안전원은 2016년부터 5년간 총사업비 421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공사를 마치고 대전 소재 임시청사에서 이전, 지난해 11월부터 업무를 시작했다.
신청사는 부지면적 3만6천96㎡에 화학사고대응 훈련장(8천557㎡)과 실험연구동, 행정·교육동, 생활관 등 3개 건물(총면적 1만2천286㎡)로 구성됐다.
이날 개청식에는 한정애 환경부 장관을 비롯해 이시종 충청북도지사, 한범덕 청주시장 등 10여 명이 참석했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이날 개청식에서 “화학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애초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감시하고 예방하는 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 과정에서 화학물질안전원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국회의원 시절 ‘화학물질관리법’ 개정과 지금의 화학사고 대응 체계를 마련한 경험을 언급하며 “화학물질안전원이 주축이 돼 정책과 산업현장 양쪽 모두 사고예방을 위한 관리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라고 강조했다.
또 화학사고 대응훈련장을 둘러보며 “지역주민이나 학생 등 다양한 수요자를 대상으로 화학안전 교육을 제공해 사회 전반에 안전 인식이 뿌리내리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신청사 개청을 계기로 취약업체 안전관리 기술지원, 외국인 근로자와 지역사회 대상 화학안전교육, 화학안전 정보 개방·공유 확대 등으로 사각지대가 없는 보다 촘촘한 화학안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화학사고 사전예방·조기대응 시스템 강화를 위해 노후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드론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화학물질 유·누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노후 산단 1곳을 시범 구축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5년까지 전국 산단 15곳으로 확대해 원격 모니터링 정보 실시간 확인 및 분석, 현장 조치에 필요한 정보 제공 등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화학물질안전원은 4월부터 시행하는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 제도 이행 지원과 업종·공정 특성을 고려한 취급시설 설치·관리기준 마련 등을 통해 현장 안전과 중소기업의 제도 이행력 제고를 동시에 담보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한다.
관련기사
- 환경부, 올해 화학물질 등록 지원사업 추진2021.02.14
- 벤젠·염화비닐 등 유해화학물질 9종 확 줄인다2020.12.30
- 화학물질안전원,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기준 개정2020.12.21
- 화학물질안전원, 화학사고대응 훈련장 건립…내년 운영2020.12.15
현장의 화학물질 취급 설비를 재현한 야외훈련장,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훈련시설을 활용한 체험형 교육·훈련, 외국인 근로자 안전교육 모국어 서비스, 지역사회 어린이 대상 체험 교육과정 운영 등 화학안전 교육 서비스도 확대할 예정이다.
조은희 화학물질안전원장은 “신청사 개청을 계기로 산업계·지역사회 등 현장과 더 가까이에서 소통하면서 안전 문화를 확산하고 누구나 화학사고 걱정 없이 편안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