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는 전국민 대상 모바일 신분증 도입을 위한 테스트베드로 추진 중인 모바일 공무원증 구축 사업을 완료하고,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공무원증은 주민등록증과 함께 1968년 종이공무원증으로 시작됐다. 그 후 2003년 플라스틱 전자공무원증으로 개편된 바 있다.
행안부와 인사처는 모바일 공무원증을 통해 충분한 안전성 검사 등을 거친 후 올해 연말부터 본격적인 모바일 신분증 시대를 연다는 계획이다.
■모바일 앱으로 청사 출입·메일 열람…"6월까지 발급 마무리"
모바일 공무원증은 현행 플라스틱 공무원증과 병행해 사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발급받을 수 있다.
공무 집행 시 공무원증 제시를 요구받으면 스마트폰으로 공무원임을 증명할 수 있고, 현행 플라스틱 공무원증을 꺼내지 않고도 스마트폰을 이용해 청사 및 스마트워크센터 출입이 가능하다.
행정전자서명(GPKI) 없이도 모바일 공무원증을 이용해 공직자통합메일 등 업무 시스템에 로그인할 수도 있다.
인사처는 '국가공무원 복무규칙' 개정 등 모바일 공무원증 도입을 위한 법·제도 개선도 계획대로 진행 중이다.
모바일 공무원증 신규 도입에 따른 일선의 혼란을 막기 위해 모양, 기재사항을 현행 공무원증과 동일하게 하고, 모바일 공무원증의 활용도 및 대국민 인식도를 높이기 위해 공무 집행 시 신분증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칙 상에 명시했다.
청사 출입 등 서비스 활용이 확보된 중앙 행정부처 중심으로 모바일 공무원증 발급을 우선 추진하는 등 단계적 확대 계획도 마련했다.
다음달까지는 세종·서울청사 26개 기관 1만5천명을 대상으로 발급하고, 4월까지 대전·과천청사 중앙행정부처 7만명을 대상으로 발급할 예정이다.
그 밖에 중앙부처 소속기관 13만여명 대상으로는 6월까지 발급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지방자치단체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해 기관별 모바일 공무원증 서비스 구현을 지원할 계획이다.
■'모바일 운전면허증', 연말에 쓸 수 있다
정부는 모바일 공무원증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기술적 보완과 검증 과정을 거친 후, 올해 말 전국민을 대상으로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서비스할 계획이다.
모바일 신분증은 온·오프라인에서 디지털 신원증명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개념적(자기주권 강화), 기술적(분산ID(DID) 기술 적용), 형태적(디지털 신분증), 활용적(온·오프라인 통합) 측면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발급하는 모바일 신분증은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자기주권 신원증명 개념을 적용해 개발된다. 자기주권 신원증명은 현재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중앙집중식 신원증명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신원정보의 소유 및 이용 권한을 신원 주체인 개인이 갖는 방식이다.
관련기사
- 카카오톡에 신분증·자격증 지갑 생긴다2020.12.16
- 생체인증 앱 '삼성 패스', 인증서·신분증 담는다2020.12.21
- "공무원증 좀 보여주세요"...내년부터 스마트폰 내민다2020.11.19
- "모바일 운전면허증 제대로 쓰려면 도로교통법도 개정해야"2020.09.10
모바일 신분증 소유자는 자신의 신분증(신원정보)을 본인 스마트폰에 발급받아 보관하면서 신원확인 요청이 있을 때마다 본인의 판단에 따라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신분증 사용 이력은 본인만 확인할 수 있도록 개인의 스마트폰에 저장되며, 중앙 서버에는 저장되지 않는다.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은 “모바일 공무원증은 전 국민 모바일 신분증 시대를 여는 첫 관문에 해당하는 만큼, 운영과정에서 충분한 검증을 거쳐 향후 모바일 신분증이 차질없이 도입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겠다”며 ”앞으로 모바일 신분증이 온·오프라인에서 주요 신원 증명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면 국민 생활이 더욱 편리해지고 비대면 경제도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