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생물 주권 확보·탄소중립 이행 나선다

‘제1차 생물자원관 기본계획’ 수립…권역별 역할‧운영체계 정립

디지털경제입력 :2021/01/04 09:26

환경부는 국내 생물자원관의 중장기 추진전략을 담은 ‘제1차 생물자원관 기본계획(2021~2025년)’을 수립, 이달부터 시행에 들어간다.

환경부는 2007년 국립생물자원관(국가 생물자원 총괄)을 시작으로 2015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담수생물), 지난해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도서·연안생물)을 건립, 소관 분야 생물자원 발굴·보전·관리·활용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

제1차 기본계획은 ‘생물자원관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호남권 생물자원관 건립 이후 생물자원관 간 역할을 정립하고 자원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경북 상주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을 방문해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

또 기존 생물자원관이 수행해온 생물 주권 확보를 위한 생물종 조사·발굴 사업을 넘어 생물자원을 활용한 탄소중립 이행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바이오 신산업 육성 등 생물자원 활용을 촉진한다.

생물자원관은 생물자원을 전략적으로 조사·발굴(미발굴생물, 미탐사지역 중심)해 생물 주권의 지표가 되는 국가생물종목록을 확대 구축한다. 국가생물종목록은 올해 5만6천288종에서 2023년 5만9천679종, 2025년 6만2천600종으로 늘린다.

수요자 맞춤형 생물자원 서비스(소재·데이터 등) 제공 기반을 마련한다.

야생생물 소재은행(인천), 담수생물자원은행(낙동강), 도서·연안 천연물은행(호남권) 등 권역별 특화된 소재은행을 운영해 다양한 소재 수요에 대응한다.

정부 기관이 보유한 생물다양성 정보를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KBR)’에 연계해 대국민 데이터 서비스를 확대·제공한다. 지난해 1천300만건에서 2025년에는 1천800만권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야생생물을 활용해 바이오 신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생물소재 클러스터(2020~2022년)’ ‘담수생물 사업화연계기술개발(R&BD) 센터(2021~2023년)’를 조성해 기업의 자생생물 활용 사업·제품화를 위한 지원 기반시설(인프라)을 마련한다.

탄소중립 등 환경 현안 해결에 생물자원을 활용해 생물자원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

야생생물 활용 탄소 저감 기술(메탄 발생 저감 유용 미생물 등) 확보, 환경 현안 해결(난분해성 플라스틱)을 위한 기술 및 소재 개발을 추진한다.

생물다양성 주류화를 위한 대국민 서비스를 확대 제공한다.

관련기사

생물다양성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가상·증강현실(VR‧AR)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한 체험형 생물자원 전시관을 조성한다. 생물다양성 관련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해 코로나19 등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연령대가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박연재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생물자원은 현세대 뿐 아니라 미래 세대도 함께 누려야 할 소중한 자산”이라며 “제1차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생물 주권을 공고히 하고 다양한 활용연구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