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화·CBDC·디파이...내년 블록체인 3大 키워드"

이석우 두나무 대표 UDC2020 오프닝 토크에서 전망

컴퓨팅입력 :2020/11/30 15:14    수정: 2020/11/30 15:49

국내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이끌고 있는 이석우 두나무 대표가 내년 블록체인 산업 트렌드를 주도할 3가지 키워드로 '제도화·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탈중앙화 금융(DeFi, 디파이)'을 꼽았다.

내년 시행 예정인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과 암호화폐 과세로 이미 제도화 기틀이 마련된 가운데, 산업 진흥 역할을 할 업권법 제정 논의가 추가로 이뤄면서 블록체인의 제도권 진입이 본격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또, 산업 제도화와 맞물려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대표적인 블록체인 서비스로 CBDC와 디파이가 등장할 것이란 예상도 내놨다. CBDC와 디파이가 각각 중앙화와 탈중앙화라는 대척점에 서서 자웅을 겨루는 모습도 흥미롭게 지켜볼 관전 포인트로 제시했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오른쪽)와 김태훈 팝 칼럼니스트가 업비트개발자컨퍼런스(UDC)2020 오프닝 토크 세션을 진행하고 있다.

"내년 업권법 제정 논의 기대...코로나19 팬데믹으로 블록체인 필요성 대두"

이석우 대표는 30일 온라인으로 개막한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20' 컨퍼런스의 오프닝 토크 세션에서 내년 블록체인 산업을 이 같이 전망했다.

이날 오프닝 토크 세션의 진행을 맡은 김태훈 팝 칼럼니스트는 이 대표에 이번 행사 주요 프로그램에 대해에 대해 질문하자, 이 대표는 "이번 행사는 내년 블록체인 산업의 핵심적인 아젠다가 될 제도화, CBDC, 디파이를 다룬다"며 설명을 이어갔다.

이 대표는 먼저 제대화에 대해 "규제가 만들어지면서 어느정도 사업에 가시성이 생기게 됐다"며 "대략적인 큰 틀에서 정책이 정해졌다"고 평가했다.

암호화폐(가상자산) 사업자에 자금세탁방지 의무를 부여한 특금법이 내년 3월부터 시행되면서 업비트를 포함한 법적용 대상 사업자들은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자금세탁방지 보고를 하도록 했다. 또, 내년 10월부터는 개인의 암호화폐 거래도 과세 대상에 포함돼 연 250만원을 초과하는 수익에 대해서는 20%의 기타소득세가 부과된다.

이 대표는 "더불어 디지털 자산이 무엇인지, 관련 사업을 하는 주체들은 어떤 규칙을 따라야 하는지 등을 담은 '업권법'이 만들어지길 희망한다"며 "아직은 규제 틀만 만들어 놓은 상황인데 규제와 진흥이 같이 있어야 산업이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내년에는 특금법과 과세에 이어 정책적인 부분에 있어서 더 많은 논의가 이뤄질 것 같다"고 기대했다.

김태훈 팝 칼럼니스트는 이어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역설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이 더 중요해진 것 아니냐"고 물었고, 이 대표는 역시 "비대면 환경에 신뢰를 주는 기술로 블록체인이 더욱 주목받게 될 것"이라고 답하며 산업 진흥의 당위성을 한층 강조했다.

이 대표는 "코로나19가 블록체인 대중화 시기를 훨씬 앞당기고 있다"며 "실제 블록체인으로 오프라인해서 해야 했던 많은 일들을 효율적으로 온라인에서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주식거래를 예로 들었다. 현재 주식은 거래소를 통해 팔고 나면 정산되는데 시간이 걸리고 상당히 높은 수수료를 떼 간다. 또, 주주총회를 하려면 직접 주총장에가서 표를 행사해야 하는 것도 번거롭다. 주식거래에 블록체인이 접목되면 주식을 토큰화해 실시간으로 정산이 이뤄지고 주총장에 가지 않아도 온라인 투표도 표를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이 대표는 "여러 염려들 때문에 당장 현실화되기 어렵지만 언젠가는 일상적으로 하는 일들이 블록체인을 통해 온라인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CBDC와 디파이 성장 재미있는 볼거리될 것"

이석우 대표는 내년 '블록체인 산업 제도화'라는 큰 흐름 아래 CBDC와 디파이가 수면위로 부상하게 될 것으로도 내다봤다.

이 대표는 CBDC에 대해 "내년 각국에서 CBDC와 관련된 발표를 내놓을 것이고 디지털금융·국제 금융의 패권다툼이 일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미 중국과 유럽연합은 CBDC 발행을 진지하게 검토하는 단계이고,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일본 등도 지급결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대비해 CBDC 연구에 착수한 상태다.

이 대표는  달러 중심의 국제금융질서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것 같다. 그랬을 떄 굉장히 치열한 패권 싸움이 일어날 것 같다.

디파이에 대해서는 "금융 등 실물자산과 연계한 디파이가 먼저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며 "가장 직관적으로 디지털 자산 기반 금융을 이해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이라고 예상했다.

김태훈 팝 칼럼리스트는 이 같은 전망에 "중앙화된 CBDC와 탈중앙화된 디파이가 양립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했고, 이 대표는 "둘 다 당분간 관찰해봐야 한다"며 "블록체인 산업을 바라보는 재미있는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관련기사

이 대표는 이어 "정부 입장에서는 탈중앙화된 서비스라도 투명성만 보장되면 크게 문제삼을 이유는 없을 것 같다" 공존 가능성에 조금 더 무게를 실었다.

이 대표는 끝으로 "인터넷이 처음 등장하고 집집마다 랜선이 깔리기까지 대략 25~30년이 걸렸는데 스마트폰 보급 속도는 5~6년으로 확 줄어들었다"며 "갈 수록 (기술 혁명) 주기가 짧아지고 있는 것을 보면 블록체인은 예상보다 빨리 우리 일상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