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기획자 수도권에 66.1%...300곳 돌파

중기부 발표, 투자 기업은 ICT 서비스가 최고...바이오보다 많아

중기/벤처입력 :2020/11/10 15:50

국내 창업기획자(엑셀러레이터) 등록 기업이 300곳을 돌파했다. 수도권에 66.1%, 비수도권에 33.9%가 분포했다. 엑설러레이터가 투자한 기업 업종은 정보통신기술(ICT)서비스(30.2%)가 최고로 바이오·의료(22.1%)를 앞섰다. 정보통신 제조(12.7%)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10일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300번째 창업기획자로 유한회사 케이아이엠씨가 등록했다고 밝혔다.

창업기획자는 분야별 전문가들이 창업기업을 선발, 보육, 투자해 기업의 성장을 돕는 전문회사다. 투자가 중심이 되는 벤처투자회사(벤처캐피탈)와 차이가 있다. 창업기획자는 2005년 미국의 와이-콤비네이터(Y-Combinator)가 투자와 보육을 결합한 형태로 시작해 세계로 확산됐으다. 우리나라는 2016년 11월 30일 '중소기업 창업지원법' 개정으로 창업기획자의 근거를 마련했다. '와이-콤비네이터(Y-combinator)'는 세계 첫 액셀러레이터로 에어비앤비(Airbnb), 드롭박스(Drop Box) 등 2000개사를 지원했다.

창업기획자는 '창업지원법'에서 8월 12일 시행한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로 근거 법률이 바뀌면서 벤처 투자시장의 주요한 구성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2017년 1월 처음으로 아이빌트(현재, 액셀러레이터협회 회장사)가 등록한 이후 매년 80여개사가 등록, 케이아이엠씨가 300번째 등록사가 됐다. 창업투자회사와 창업기획자를 겸영하던 창업투자회사들이 일부 창업기획자를 반납하면서 현재는 290개 창업기획자가 활동하고 있다.

중기부는 올 9월 창업기획자와 창업기획자가 보육 및 투자한 기업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 그 결과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투자금액의 40%~50%를 창업초기 기업에 투자하도록 돼 있는 창업기획자는 4년여 간 총 1703개사에 2253억원(기업당 1.3억원)을 투자, 창업초기 투자에 주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투자법'상 창업기획자는 자본금의 40%, 개인투자조합의 50%, 벤처투자조합의 40% 이상을 창업 3년 이내 초기창업자에게 투자하게 돼 있다. 종전 창업지원법에는 50% 이상 투자 가 의무였다.

또 창업기획자에게서 투자받은 기업 1655개사는 투자 이후 총 7013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10,405명 → 17,418명)했다. 투자 전‧후 업체당 평균 고용과 매출도 각각 4.2명(6.3명 → 10.5명, 66.7% 증), 2.6억원(2.8억원 → 5.4억원, 92.8% 증)이 늘었다.

투자기업의 업종별 분포를 보면 정보통신기술(ICT)서비스 30.2%, 바이오·의료 22.1%, 정보통신기술(ICT)제조 12.7%, 문화·콘텐츠 8.0%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창업기획자는 수도권에 66.1%, 비수도권에 33.9%가 분포했다. 창투사(수도권 89.7%, 비수도권 10.3%)에 비해 비수도권 비중이 높았다.

관련기사

또 창업기획자 평균 자본금 5억9000만원, 보육공간은 491.4㎡, 전문인력은 2.7명으로 2.3개 보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중기부 박용순 벤처혁신정책관은 "창업기획자의 증가는 창업생태계에서 투자자의 저변을 확대하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며 "창업초기와 성장단계를 연결하는 투자 사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정책관은 "벤처투자촉진법 제정에 따라 창업기획자에게 벤처투자조합 결성이 허용, 벤처투자시장에서 더욱 활발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