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D램 시장의 성장 변수, 5G 폰과 DDR5"

28일 KSIA 주최 '반도체 시장 전망 세미나' 개최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20/10/28 19:31    수정: 2020/10/29 08:30

내년 D램 시장은 성장이 예상되지만, 5G 스마트폰 보급으로 인해 얼마나 스마트폰 출하량이 회복되느냐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PC용 메모리 시장은 마이너스 성장이, 서버용 메모리 시장은 보수적인 투자 기조로 인해 빠른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 정성공 옴디아 수석연구원.

앞으로의 메모리 시장은 MEC(모바일 엣지 컴퓨팅)가 헤게모니를 가져갈 것으로 본다. 응용처별로는 스트리밍 게이밍, 로봇, 스마트팩토리의 성장이 예상된다. DDR5 D램의 출시도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내년 하반기부터 PC 및 서버용 제품이 출시, 시장은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 이세철 씨티그룹 상무.

28일 한국반도체산업협회(KSIA) 주최로 열린 '반도체 시장 전망 세미나'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 속에도 내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5G 스마트폰, DDR5 D램 출시로 인해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정성공 옴디아 수석연구원은 "내년 D램 시장의 화두는 코로나19 영향이 줄면서 경제활동이 언택트에서 콘택트로 전환될 수 있느냐다"라며 "5G 폰 보급으로 스마트폰 출하량이 얼마나 회복되느냐가 관건인데 옴디아는 내년 스마트폰 시장 전체 출하량이 13억 중반대를 기록해 D램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 시장 전망 세미나' 현장. (사진=지디넷코리아)

이어 "반면, 서버용 D램 시장 전망은 불투명한데 언택트에서 컨택트로 전환되면서 동영상 시청 시간이 감소하고, 서비스 이용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며 "또 올해 서버 업체들의 이익이 줄면서 이들 업체가 자체 투자를 보수적으로 진행, 내년 초까지 서버용 D램 수요는 빠르게 회복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D램 시장의 중장기 전망으로는 오는 2022년까지 수요가 지속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정성공 연구원은 "올해 예상치 못한 코로나19로 수요 대비 공급 강도가 강했는데 2분기부터 공급 업체 생산량이 상향 조정되면서 하반기 들어 재고 물량이 증가, 이로 인해 하반기 시장은 공급과잉이 심화된 상황"이라며 "이런 수급 상황에서 3분기 D램 가격은 5%가량 하락이 예상, 4분기도 4% 정도 가격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화웨이 이슈가 맞물리면서 모바일용 D램 수급이 타이트해져 내년 1분기에는 가격 반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예측했다.

이어 "D램 전체 수요는 2020년 17%, 2021년 19%, 2022년 21%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 내년에는 5G 스마트폰 비중이 전체의 43%까지 늘면서 수요를 이끌어 갈 것"이라며 "특히 내년에는 DDR5 D램 교체수요가 서버용 D램 시장의 모멘텀으로 작용하면서 성장을 견인, 2024년 이후부터 수요가 다시 둔화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내년 D램 시장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로는 코로나19 대확산과 미국 대선, 인텔의 사파이어 래피드 출시 지연 등을 꼽았다.

정 연구원은 "지금까지 코로나19 확산 추세는 꺾인 적이 없고, 10월 들어서는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며 "이로 인한 국경봉쇄 조치가 이어지고, 여기에 더해 코로나19 백신 출시가 지연되면 기업들의 이익 감소와 스마트폰 수요 침체가 나타날 수 있다. 코로나19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코앞으로 다가온 미국 대선 역시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트럼프 재집권 시 무역 분쟁으로 인한 D램 수요의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고, 바이든 집권 시에는 반독점 규제(아마존, 구글 등 대상) 및 법인세(21%→28%) 인상 등의 이유로 데이터센터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며 "인텔의 10나노미터 기반 서버용 CPU인 사파이어 래피드(DDR5 D램 지원) 출시가 지연될 경우, DDR5 D램 보급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도체 시장 전망 및 기술 트렌드'를 주제로 발표 중인 이세철 씨티그룹 상무. (사진=지디넷코리아)

이세철 씨티그룹 상무는 최근 글로벌 IT 업체들이 미래 먹거리로 주목하는 MEC 기술이 향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새로운 헤게모니로 떠오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아 눈길을 끌었다.

이세철 상무는 "향후 3~5년 내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헤게모니는 MEC가 주도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기존 클라우드 컴퓨팅 구조(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단말)에서 서버가 전진 배치되는 구조(클라우드, 데이터센터+MEC, 단말)로, 월 5천원만 내면 스마트폰을 통한 슈퍼컴퓨팅이 가능해 네트워크 이펙트를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일례로 하반기 출시를 앞둔 신규 콘솔 게임기와 관련된 (SSD) 수요는 700만대로 전망되는데 이는 77억 인구의 0.1%에 불과하지만, MEC를 통해 서버를 공유하게 되면 모든 가정의 PC나 스마트폰이 슈퍼컴퓨터가 될 수 있다"며 "로봇 분야에서도 단독 10만원으로 가사도우미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대가 등장할 수 있고, 이는 아주 저렴하게 서버를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메가 트렌드 중 하나로 판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서버용 D램 수요는 10년 전만 해도 전체 시장의 10% 정도에 불과했지만, 최근에는 30% 중반까지 치솟아 모바일 D램 수요와 맞먹는 수준을 차지하고 있다"며 "MEC는 이를 더욱 가속화해 2024년에는 서버 D램 수요가 전체의 6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이는 5G와 접목돼 헤게모니 경쟁으로 이어져 스트리밍 게이밍, 로봇, 스마트팩토리 시대를 앞당길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DDR5 D램 출시에 따른 변화로 극자외선(EUV) 공정 기반의 D램 양산이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도 내놨다.

관련기사

이 상무는 "DDR5 D램은 기존 D램(DDR4) 대비 속도가 2배 빠르다는 게 가장 큰 장점으로, MEC에 가장 최적화된 반도체"라며 "문제는 속도가 빠른 만큼 칩셋 내부에 오류정정회로(EEC)가 늘어나 칩셋 사이즈가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PC용 DDR5 D램은 15%, 모바일용 DDR5 D램은 15%, 그래픽용 DDR5 D램은 20%가량 기존보다 사이즈가 커진다. 이에 칩셋 크기를 줄이기 위한 EUV 도입이 본격화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현재 메모리의 업체의 원가 하락률은 DPT(더블 패터닝), QPT(쿼드러플패터닝) 공정이 늘면서 7~8% 수준에 머물고 있는데 DDR5 D램의 경우, 원가가 아예 하락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며 "EUV는 공정 프로세스를 줄여 원가를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 이를 통해 10% 중반까지 원가 하락률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