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억 투입한 영월·보은·고성 드론전용비행시험장, 이용률은 33%에 그쳐

문진석 의원 "시험장 선정 당시 수요 반영 미흡…이용률 제고 방안 마련” 지적

디지털경제입력 :2020/10/23 09:09    수정: 2020/10/23 09:12

정부가 180억원을 들여 지은 드론전용비행시험장 3곳의 이용률이 3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진석 의원이 22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열린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문진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은 항공안전기술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9년 7월부터 2020년 8월까지 강원 영월, 충북 보은, 경남 고성 등 드론전용비행시험장 3곳의 이용률은 평균 33%에 그쳤다. 3곳 가운데 영월만 절반을 넘어선 59%였고 고성과 보은은 각각 27%, 11%였다.

문 의원은 이용률이 낮은 이유로 시험장 선정 당시 이용 수요의 반영 미흡을 꼽았다.

문 의원은 “이른 시일 안에 완공하기 위해 수요 조사 결과를 뒤로 한 채 공역 대상지 7곳을 후보로 연내 착공 여부, 공사난이도를 우선해서 건립하다 보니 이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 의원은 “이런 상황에도 인천, 화성, 의성에 비행시험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며 “의성의 경우 정상적인 공모 절차와 검증 없이 예산 20억원이 먼저 반영된 후 지난 8월에야 타당성 조사를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손명수 국토교통부 제2차관(오른쪽 세 번째)이 3일 강원도 영월 드론전용비행시험장에서 K-드론시스템 대규모 실증행사에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문 의원은 이어 “드론전용비행시험장 한 곳 건설에만 예산 60억원이 투입되고 연간운영비로 약 2억5천800만원이 소요된다”며 “드론 산업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라도 더 많은 연구소와 기업이 찾아와 이용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이용률 제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토교통부와 항공안전기술원은 지난 1월 드론전용비행시험장 이용률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전국 드론제작업체 260곳 가운데 49.2%인 128곳이 수도권에 밀집돼 있어 수도권인 인천, 화성 등에 신규 비행시험장을 짓는다는 내용이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