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ESS화재 대응 경험 바탕으로 국제표준 만든다

IEC TC120, 'ESS 안전 시험방법·절차' 신규작업표준안으로 채택

디지털경제입력 :2020/09/24 11:00

정부가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 원인 조사를 통해 축적한 경험과 실증시험 기술을 바탕으로 ESS 안전성 분야 국제표준 제정을 추진한다.

24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에 따르면 정부가 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 제안한 'ESS시스템 안전 시험방법·절차'가 최근 ESS시스템 기술위원회(IEC TC 120)에서 신규작업표준안(NP)으로 채택됐다.

신규작업표준안(NP) 채택은 국제표준 제정의 첫 단계로, 기술위원회 정회원국 투표에서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고 5개국에서 국제표준 제정 작업에 참여할 전문가를 추천받아야 한다.

이번 투표에서 정부는 미국·스페인·아일랜드·중국 등으로부터 전문가 추천을 받는 등 기술위원회 회원국 대다수의 찬성을 이끌어 냈다.

국표원 관계자는 "제안 과정에서 기존 표준에 포함해 다루자는 일본의 주장과 ESS 안전검증의 중요성, 시장의 당위성에 따른 신규표준이 필요하다는 우리의 주장이 맞섰다"며 "투표 결과, 국제표준을 제정키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전남 해남군 황산면 소재 태양광 연계 ESS에서 발생한 화재 모습. 사진=해남소방서

이번 표준안은 리튬이온배터리 기반 ESS시스템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시험방법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규정한 기술문서다. 지난해 정부가 실시한 ESS 화재사고 조사와 실증을 통해 확보한 안전성 기술을 바탕으로 작성했다. 전기·기계적 위험성, 누설가스, 통신제어, 전자파 등 ESS 안전요소에 대한 상세 시험방법을 담았다.

김미성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수석과 김진용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센터장 등이 국제표준 제안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김 센터장은 이번 표준제정을 위해 구성되는 국제 프로젝트팀의 리더를 맡아 제정 절차를 이끌어 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이 밖에도, 정부가 제안한 '환경조건에 따른 ESS 시스템 보호 요구사항'이 지난해 11월 신규작업표준안으로 채택돼 현재 국제표준 제정 작업이 진행 중이다. 정부는 다른 국제표준안에도 국내 ESS 시스템 관련 기술을 지속 반영키로 했다.

이승우 국표원장은 "그동안 발생한 ESS 화재 사고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남들이 가보지 않은 길을 앞서가는 과정에서 겪은 경험이 오늘날 국제표준 추진의 밑바탕이 됐다"며 "과거 선진국이 시행착오를 발판으로 여러 국제표준을 개발했던 것처럼, 우리도 국제표준화를 통해 더욱 안전한 ESS시스템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