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으로 인한 원전 정지사고, 민·관 합동 조사해야"

환경운동연합 "원안위 조사결과 발표 늦어져…근본 대책 마련하라"

디지털경제입력 :2020/09/23 13:59

최근 잇따른 태풍으로 가동을 중단한 원자력발전소에 대해 민·관 합동으로 조사해달라는 환경단체의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자연재해에 따른 안전성 확보가 시급한데 원전 감독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아직까지도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는 것이다.

23일 환경운동연합은 "이번 사건에 대해 심층적인 사고조사와 원인분석, 규제시스템 보완, 향후대책마련을 위해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민관합동 조사기구를 구성하기를 요청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최근 제9호 태풍 '마이삭'과 10호 태풍 '하이선'의 영향으로 고리원전 3·4호기와 신고리원전 1·2호기, 월성원전 2·3호기의 발전이 차례로 정지됐다. 높은 파도와 강풍의 영향으로 다량의 염분이 발전소 부지 내 전력설비에 유입돼 고장이 발생했다고 한수원은 설명했다. 

이에 한수원은 고장설비 복구와 전력설비에 침적된 염분 제거작업을 실시했다. 설비 시험을 통해 건전성을 확인하고, 원안위의 공식적 조사 결과에 따라 발전소를 재가동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환경운동연합은 "원안위는 이번 사고에 대해 사건 경과는 물론 원인조사, 조치사항, 대책 등에 대해 아무런 자료도 발표하고 있지 않다"며 "오는 25일 개최하는 126회 원자력안전위원회에도 이와 관련한 보고가 전혀 예정돼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부산 기장군 고리 원자력발전소. 사진=원자력안전위원회

환경운동연합은 "자칫 원자로의 냉각기능상실로 이어질 수 있는 소외전원상실 사고가 발생했는데 국민들에게 3주간 아무런 보고 조차 없었다는 점은 도저히 납득이 가지 않는다"며 "현장에선 한수원이 발표한 바를 기정사실로 개선조치가 진행 중인데, 조사결과나 원인분석 대책도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벌써 가동 준비부터 서두르는 것이 아닌가 의심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어 "그동안 원안위와 한수원은 일본 후쿠시마 사고 이후 극한의 자연재해나 중대사고에 대비한 개선대책을 마련해 보완해 왔다고 주장했다"며 "태풍에 날려 온 소금기에도 전원상실사고가 발생하는 지경인데, 더 큰 자연재해에 과연 우리 원전의 안전성이 과연 확보될 수 있는 것이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원안위는 태풍이 오기 전에 위원장의 참석 하에 태풍 대비태세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비상근무체계를 가동했다고 밝혔지만, 결국 원전 8기가 한꺼번에 문제가 생기는 사고를 막지 못했다"며 "원안위는 사고조사가 마무리되지 않았다는 핑계를 대지 말고, 현재까지 조사한 결과부터 국민들에게 공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